고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학점제가 운영될 전망이다. 또 중간·기말고사와 같은 총괄평가 비중이 줄어들고, 교사 재량으로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평가 방식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 방향과 전략’ 시안을 22일 발표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우리나라 교육이 2030년까지 나아갈 5개 방향과 22개 추진전략을 제시,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는 미래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취지다.
이번 시안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학생의 교과목 선택권의 확대다. 일괄적인 수업에서 탈피해 학생들이 능력과 흥미, 적성에 맞게 배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학교급별로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을 제시하되, 위계성이 있는 교과는 수준별로 수업을 개설하게 된다.
또 학생들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미 미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점제 도입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학생들의 적성이나 흥미에 맞는 분야를 고등학교 때부터 집중 교육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학년 구분이 없어지고 조기졸업도 가능해진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학점제가 도입된다 해도 학년제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지만 학년에 구분없이 이수할 수 있는 과목이 생길 것”이라며 “핀란드 사례처럼 6개월 정도 빨리 졸업하거나 조금 더 배워 6개월 정도 늦게 졸업하는 것이 있는데, 이 부분의 허용 여부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 운영과 평가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대폭 확대된다. 국가가 정하는 교육과정은 최대한 줄이고 학교와 교사 재량껏 교육과정 및 수업의 자율권이 부여되는 것이다. 평가에서도 중간·기말고사 같은 학교 단위의 총괄평가 비중은 줄어들고 대신 형성평가와 과정 평가를 확대하는 등 수시·상시 평가의 비중이 늘어난다.
예를 들어 출석 10%, 과제 5회 30%, 퀴즈(쪽지시험) 5회 30%, 발표·토론 참여도 10%, 중간·기말고사 20% 등 각 교과목별 모든 학습 활동을 점수로 환산해 성적으로 반영하고, 원하는 성적을 받지 못한 경우 과제나 재시험의 기회를 부여하는 식이다. 이러한 교육환경 변화에 맞춰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도 개편된다.
이밖에도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VR(가상현실),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학습플랫폼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개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첨단 미래학교 육성 프로젝트’, SW 교육 활성화를 통한 지능정보기술 분야 교육 저변 확대 추진 등도 이번 시안에 담겼다.
교육부는 시안을 바탕으로 교육전문가와 현장교원, 학부모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내년 중 구체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확정하는 한편, 지능정보사회 교육발전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교육부 직제를 개편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고교학점제 추진… 학생 교과선택권 늘린다
기사입력 2016-12-22 19:53:42
기사수정 2016-12-22 19:53:42
기사수정 2016-12-22 19:5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