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윤리위는 16일 첫 회의 후 세 의원에 대해 “국민적 공분을 일으킨 부적절한 언행이나 당원으로서 부적절한 처신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이라며 징계 심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20대 총선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윤 의원의 ‘막말’ 파동, 친박계 방해로 인한 상임전국위 무산 등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왼쪽 세번째)이 16일 오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왼쪽 두번째), 김문수 비대위원(왼쪽), 정우택 원내대표와 만찬을 하기에 앞서 환담을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 |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및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인명진 비대위원장과 정우택 원내대표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윤리위는 또 박희태 전 국회의장, 이상득·이병석 전 국회부의장,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현재 검찰이 기소했거나 재판 중이라는 이유로 당원권을 정지했다. 추가징계도 착수했는데 20대 총선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이한구 전 의원도 포함됐다. 공천 논란으로 총선 패배를 자초한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전임 이진곤 윤리위가 추진했던 박근혜 대통령 징계는 탄핵심판이 진행 중인 것을 고려해 보류했다.
한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인 위원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와 만찬을 가졌다. 황 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인 위원장께서 평생을 헌신해오던 시민단체 활동을 접으면서까지 (비대위를 맡는) 어려운 결단을 한 걸로 알고 있다”며 “새누리당이 정치혁신, 정당혁신, 정책혁신을 통해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 위원장 지원사격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인 위원장은 “국내외적으로 어렵고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을 때 황 권한대행이 뚝심있게 버텨주시고 있다. 국민들이 의지하고 있다”고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