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파전으로 치러진 선거전은 국회의 탄핵결정으로 대통령 업무가 정지된 뒤 제법 경쟁의 양상을 띠어왔다. 이사회가 사상 처음 후보자의 정책 발표 자리를 허용했고, 후보들의 정책을 놓고 학생회의 선호도 조사가 이뤄졌다. 그 결과는 이사회 참고자료로 제공된다. 명망가 위주에서 정책중심으로 변화한 긍정적인 신호다.
임정재 사회2부 기자 |
카이스트의 현실은 고질병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총장을 뽑아도 될 만큼 여유롭지 않다. 과학도가 선택 1순위로 꼽던 이공계 선도대학의 지위가 흔들린 지는 오래다. 1980년대 교육시스템이 여전히 작동하면서 비효율과 적폐가 누적되고 있다. 전례없는 교수와 학생의 이탈 현상도 나타난다. 소장 교수들 사이에는 “카이스트 특유의 역동성이 사라지고 있다”는 소리가 크다.
문제점을 정확히 짚고 시대적 과제를 훌륭히 이끌 혜안과 리더십이 절실해졌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화두로 4차산업혁명이 회자하고 있다. 카이스트는 이를 선도하고 개척해 나가야 한다.
그러자면 카이스트 이사회의 총장 선택 기준이 먼저 ‘정부 의중’보다 ‘과학기술의 미래’로 바뀌어야 한다. 이사회는 선택에 앞서 정부의 과도한 인사 개입이 불러온 최근 대학교육의 난맥상을 곱씹어보길 바란다.
임정재 사회2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