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빚에 갇힌 가계…1인당 평균 부채 2천600만원

원리금 부담에 소비여력 약화…취약층 대출 부실화 우려
가계 부채에 대한 우려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은 21일 가계부채를 나타내는 통계인 가계신용 잔액이 작년 말 1천344조3천억원(잠정치)이라고 발표했다.

그동안 가계부채가 1천300조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됐지만, 공식적 통계로 확인되기는 처음이다.

가계가 안고 있는 과도한 부채는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불린다.

민간의 소비 여력을 줄이는 한편, 자칫 금융시장의 안정을 흔들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인이기 때문이다.

◇ 소득은 제자리인데 가계부채는 고공행진

보통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가계 빚이 늘 수 있지만 문제는 증가 속도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율은 11.7%(141조2천억원)로 2006년(11.8%) 이후 사상 두번째로 높았다.

또 2015년(10.9%·117조8천억원)에 이어 2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소득은 사실상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통계청의 가계 동향 자료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 증가율(전년동기 대비)은 작년 1분기 0.8%, 2분기 0.8%, 3분기 0.7%에 그쳤다.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작년 1분기 -0.2%, 2분기 0.0%, 3분기 -0.1%로 오히려 뒷걸음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빚은 눈덩이처럼 늘다 보니 서민층의 삶은 팍팍할 수 밖에 없다.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가계는 세금 등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의 26.6%를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계부채를 통계청의 2017년 추계인구(5천144만6천명)로 나누면 1인당 평균 2천613만원의 빚을 안고 있는 셈이다.

올해 들어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집단대출 등을 살필 때 당분간 가계 빚 증가세는 이어질 공산이 크다.

한은은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올해에는 기약정 집단대출이나 비은행 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 금리상승에 취약계층 우려…소비 제약으로 성장에도 걸림돌

가계부채가 금융시스템의 위기로 전이될 개연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지만 불안감은 커졌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취약계층이 받을 타격이다.

작년 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계기로 국내 시중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가계의 빚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29%로 22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한은의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취약차주는 작년 9월 말 현재 146만명이고 이들이 받은 대출금은 약 78조6천억원으로 추정된다.

취약차주는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신용등급 7~10등급) 또는 저소득(소득 하위 30%)에 해당하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또 가계부채는 민간소비를 위축시킬 악재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지난 1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증가가 단기적으로 경기 활성화에 도움을 주지만 가계부채 누적에 따른 저량효과로 인해 경제성장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경제전망보고서에서도 민간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원리금 상환부담 가중을 꼽았다.

민간기관에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담은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작년 11월 내놓은 보고서에서 올해 가계부채가 소비증가율을 0.63%포인트 떨어뜨릴 것으로 추산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