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후보는 공공부문 81만 개 일자리를 만든다는 정책을 내놓았다. 이 중 17만 개가 공무원이며 정부 예산은 연간 4조2000억원, 5년간 21조원이면 된다고 발표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21조원을 5년간 투입해 일자리 81만 개를 만들면 월급여 40만원짜리밖에 못 만든다”며 “공무원 17만명에게 9급 공무원 초봉만 적용해도 1년에 4조3000억원이 들어가므로 계산이 안 맞는다”고 정책의 비현실성을 따졌다. 주요 일자리 정책이 정교하지 않고 주먹구구라는 지적은 TV토론에서 너무나 자연스럽다. 그러나 문 후보는 “세세한 건 우리 캠프 정책본부장하고 토론하라”고 묵살하는 등 감정적으로 대응했다. 문 후보가 정책토론에서 불만 표출을 넘어 상대 후보에게 모멸감까지 준 것은 유력한 대통령 후보로서 무책임한 태도다.
문 후보가 진즉에 발표한 국가주도 일자리 정책은 여러 차례 재원 마련의 적실성과 정책의 실효성을 두고 지적이 있었다. 그래서 문 후보 캠프의 일자리특위 위원장인 김진표 의원이 비판을 수용, 5년간 40조원, 연간으로는 8조원으로 정책을 수정 보완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문 후보는 TV 토론에서 종전의 수치를 들고 설명해 논란을 키웠다는 것이다.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대선후보는 주요정책에 대해선 국민적 동의를 이끌어내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그럴 때 비로소 추진 동력이 확보된다.
양질의 일자리는 기업 투자를 통해 만들어져야 지속가능하다. 나라 곳간을 헐어 청년을 고용하면 당장은 좋겠지만 더 큰 후유증이 돌아온다. 국가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결국 그리스와 같은 국가 부도의 사태를 맞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이런 뻔한 이치를 외면하고 공공 일자리 공약을 강행한다면 포퓰리즘이란 소리를 들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