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인민에서 국민으로… 수복지구에 무슨 일이?

38선·휴전선 사이 남한이 되찾은 땅 ‘수복지구’
1930년대∼1950년대 주민들 삶의 변화 추적
일제서 북한·유엔군정 거쳐 남한 국민으로
체제 전환때마다 정체성 재정립… 차별과 불신
오늘날 강원도 인제는 38선보다는 북쪽에, 휴전선보다는 남쪽에 위치한 곳이다. 1945년 미국과 소련에 의해 38선이 그어진 당시에는 북한에 속했지만, 이후 약 250㎞ 길이의 휴전선이 생기면서 남한으로 편입됐다. 이른바 ‘수복지구’(收復地區)다.

수복지구는 ‘다시 찾은 땅’을 의미한다. 구불구불한 휴전선은 북위 38도보다 북쪽에 위치한 지역 상당수를 남한으로 편입시켰다. 38선과 휴전선 사이에 위치한 경기도 연천, 강원도 양양, 고성, 인제, 양구, 화천, 철원 등이 수복지구에 해당된다.

신간 ‘한국전쟁과 수복지구’(푸른역사 펴냄)는 한국전쟁 전후의 현대사를 연구해온 한모니까 박사가 수복지구인 인제에서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벌어진 일을 추적하고 분석한 책이다.


강원도 인제군 남면 부평리에 놓여 있는 38교 표지석.
저자는 인제를 비롯한 수복지구의 해방 이후 역사를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한다. 일제의 ‘신민’에서 북한의 ‘인민’과 유엔군정의 ‘주민’을 거쳐 남한의 ‘국민’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수복지구 사람들은 불과 몇년 만에 북한의 인민에서 남한의 국민으로 이념을 전환해야 했다. 이들은 체제 전환이 일어날 때마다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해야 했다. 사회주의 정권에서는 황제의 백성이었던 그들은 순식간에 주권의 원천이 됐다.

북한은 봉건적·식민지적 사고를 버리는 대신 애국주의를 강조했다. 지주의 토지를 몰수해 소작농과 자작농에게 나눠 줬고, 가난한 농민들을 인민위원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식민시기의 잔재를 청산하려는 북한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저자는 “인제 사람들에게 일본은 보국의 대상, 북한은 애국의 대상이었다”면서 “보국과 애국을 위해 근검절약하고 수시로 물적·인적으로 동원되기는 마찬가지였다”고 설명한다.


1954년 11월15일 우리 정부는 유엔군 사령부로부터 수복지역의 행정권을 이양받았다. 당시 이양받은 수복지역은 오늘날의 경기도 연천, 강원도 양양, 고성, 인제, 양구, 화천, 철원 등 7개 지역이다.
푸른역사 제공
그렇다고 남한으로 귀속된 수복지구 주민들의 삶이 더 나았던 것은 아니다. 남한 정부는 수복지구 주민들이 북한에 부역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체제의 우월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꼈다. 이러한 이중적 발상은 당시 시행한 지방자치제에 수복지구를 적용하지 않는 차별로 이어졌다.

저자는 “인제 사람들은 국제적 역학관계에 의해 북한 인민이 됐지만, 이 사실을 약점으로 여길 수밖에 없었다”며 “이들은 철저하게 침묵하거나 과거를 묵인하고 남한이 북한보다 낫다는 집단기억을 만들어갔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수복지구의 체제 전환은 구체제와의 단절과 연속의 과정이었다”고 평가하며 국가는 구체제와의 작별을 원했지만, 주민들은 구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수복지구의 사례가 추후 남과 북이 통일될 경우 충분히 참고할 만한 사례라고 말한다. 그는 유엔군 사령부가 휴전 시점에서 약 1년이 지난 1954년 11월 수복지구를 남한에 이양했을 때 ‘법적 행정권’이 아닌 ‘사실상의 행정권’만을 넘겨줬다는 사실을 거론하며, ‘38선 이북∼휴전선 남쪽’의 행정권이 국제적으로 논란이었던 만큼 통일을 이룬 뒤 남한이 당장 북한을 통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수복지구에서의 경험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그는 “수복지구 주민이 겪은 ‘복수의 역사경험’에 대한 인식이 확산한다면 이곳은 분단의 경계지대에서 남북통일의 시험지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