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인터뷰] 방시혁 "BTS는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영원한 소년들"

“방탄소년단의 2017년은 전 세계를 무대로 한 역동적인 서사였습니다.”

방탄소년단 제작자인 방식혁(45·사진)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는 10일  고척스카이돔에서 지난 1년간 눈부시게 성장한 방탄소년단의 성과를 이렇게 정리했다.

방 대표는 이날 열린 방탄소년단의 월드투어 파이널 공연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상반기 ‘빌보드 뮤직 어워즈’ 수상이 방탄소년단의 글로벌 팬덤을 확인한 계기였다면, 최근 열린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는 대중성을 높이 평가하는 무대인 만큼 한국 음악이 팝의 본고장에서도 소통할 수 있는 더 큰 가능성을 보게 한 기회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많은 분이 방탄소년단이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한 핵심 역량과 전략, 성공 비결을 묻는다”며 “성공을 이야기하기엔 이르고 간결하고 정확하게 답을 내리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음악의 진정성과 대중음악이 전달하는 격려와 위로의 힘을 믿었기에 오늘의 가능성을 믿을 수 있었다”며 “방탄소년단은 진솔한 메시지를 담은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을 통해 들려줬고 이들이 동 세대와 교감하고 같은 성장통을  겪으면서 더 단단하게 성장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린 문화적 폐쇄성이나 언어적 장벽을 넘어 보편타당한 메시지와 좋은 콘텐츠의 힘으로 소통할 수 있다는 무한한 잠재력을 목격하고 있다”며 “이는  과거부터 이어온 수많은 K-팝 프로듀서와 가수들의 창의적인 시도가 축적됐기에 가능했다. 바람이 있다면 이를 계기로 K-팝이 고유한 장르로 새롭게 진화하는 음악으로 인정받고 글로벌 세계에서 생동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한 방 대표는 1997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동상 출신으로 JYP엔터테인먼트 수석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그간 god의 ’하늘색 풍선’, 비의 ’나쁜 남자’, 백지영의 ’총 맞은 것처럼’과 ’내 귀에 캔디’, 2AM의 ’죽어도못 보내’ 등 다수의 히트곡을 낸 작곡가 출신 음반제작자다.

다음은 일문일답 내용이다. 

- 미국에서의 방탄소년단 활약은 어떠했나. 

▲현지에서 느낀 것은 가슴에 태극기를 달았다고나 할까 굉장히 감동적이었고 ‘소명 의식 갖고 집중해서 해야지’‘여기서 실기했다간 역사의 죄인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어려서부터 국가대표 경기도 관심 없었고 ‘국가라는 실체가 그렇게 대단한건가’란 생각을 갖고 살아왔는데 이번에 그게 아니라는 것을 배웠다.  

- 방탄소년단은 더는 소년이 아닌데 어떻게 생각하나.

▲예전에 슈가가 이런 말을 했다. 본인은 어른이 되고 싶지 않다고. 피터팬 같은 얘기가 아니라 어른이 되더라도 꿈을 잃지 않고 꿈을 향해 계속 정진한다면 그건 어른이 아니라 소년이라고 했다. 전 그 말이 방탄소년단의 모습을 가장 짧게 말해주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화양연화’ 시리즈를 기획할 때도 제게 큰 영향을 줬던 말중 하나다.     

- 처음부터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만들어진 팀은 아니었는데.    

▲ 여러 요인이 방탄소년단의 현재 위치를 만들었다. 처음 팀이 만들어졌을 때부터 한 것은 K-팝 고유의 가치를 지키겠다는 것이었다. 그런 가치를 지키면서 방탄소년단만의 가치를 더하겠다. 멤버들이 사랑하는 힙합으로 대변되는 흑인 음악 베이스에 자신들의 이야기를 녹여 진정성을 지켜 나갈 것이다.

- 방탄소년단이 추구하는 음악 방향은.

▲여전히 ‘블랙 뮤직’을 베이스로 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많은 장르를 했지만 그냥 일반적으로 듣기에는 발라드에 가까운 음악이라 해도 대부분 R&B 기법을 썼다. 전세계적으로 장르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데 그런 면을 빠르게 수용하고 방탄소년단스럽게 녹이려고 한다. 

- 미국 음악시장의 의미는. 

▲ 방탄소년단이 미국 시장을 타깃으로 미국에 진출해 영어로 된 노래를 발표하는 부분은 저희가 가고자 하는 길과 다르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K-팝 가수 모두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미국 프로듀서나 미국 회사와 계약해 미국 가수가 되자는 것은 이미 K-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미국에서 성공하는 K-팝이 방탄소년단만이 아니란 걸 보이기 위해 미국에서 좋은 파트너를 만나고 이분들과 전세계에 통하는 K-팝을 만들어 가겠다.

추영준 기자 yjcho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