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제3차 남북정상회담은 서울에서"

일각 3차 남북정상회담 서울개최론
김여정 조선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당 제1부부장) 일행의 방남(訪南)을 계기로 특사파견과 제3차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직행보다 특사 방북 후 3차 정상회담은 서울에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전직 외교·안보 고위 관료는 “우리만 세 번씩이나 평양에 갈 이유가 없다”며 “이번에도 대통령을 평양으로 불러들인 것은 한반도의 정통성이 평양에 있다는 (북한 주민 대상) 정치 선전이자 핵 없는 한국을 핵을 가진 북한의 지방 정부 취급을 하는듯한 태도가 깔려있다”고 말했다.

과거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에 걸쳐 이뤄진 남북정상회담은 모두 평양에서 개최됐다. 2000년 6월 첫 번째 남북정상회담에서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김대중 대통령에게 서울 답방을 약속했으나 현실화하지 않았다. 2007년 10월 2차 정상회담도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방북했다.

서울이 아닌 제주도 등 남측의 제3 지역에서의 정상회담론도 나온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북한에서 특사가 왔으니 우리도 특사를 보내 김 위원장을 초청하고 그가 남쪽을 먼저 방문하면 그다음에 문 대통령이 (평양) 방문을 고려하는 게 맞는 순서”라며 “(김 위원장이) 서울이 불편할 수 있다면 (외가인) 제주도로 와도 되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은 핵 문제 때문에 정치적 부담이 큰 데 비해 김 위원장의 방남은 이러한 부담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게 진 교수의 견해다. 국가정보원은 2006년 김 위원장의 모친인 고용희가 제주도 출신 고경택의 딸이라고 밝혔다.

전직 통일부 고위 관료는 “김여정 부부장을 포함해 고위급대표단의 면면은 남북관계 개선에 초점을 둔 인적구성이지 핵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상대는 포함되지 않았다”며 “정상회담은 특사가 먼저 평양을 방문해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포함한 평양의 의도와 생각을 확인해본 뒤 차분하고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