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일상톡톡 플러스] "치매환자 급증…긴 병에 효자 없다?"

A씨는 "선진국 사례와 비교하는 것도 좋지만, 먼저 우리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어머니가 치매를 앓고 계시는데, 요양보호사 인력이 부족해 제대로 환자를 돌보지 못한다. 이들은 박봉과 과도한 근로에 시달리고 있어 이들의 처우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B씨는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1명이라도 있으면 그 가정은 화목함을 잃기 십상이다. 의 좋던 형제들은 등지게 되고, 그 끝은 결국 파국"이라며 "치매 환자를 한번이라도 보살펴보지 않은 이들은 모른다. 가족간에 좋았던 기억과 따스한 정까지 다 떼고 가는 게 바로 치매"라고 하소연했다.

C씨는 "치매 환자가 65만명이나 된다니 정말 무섭다. 치매는 정말 피하고 싶다"며 "무병장수가 복이다. 그럼에도 꼭 아파야 한다면 다른 질환으로 생 마감하고 싶다"고 토로했다.

D씨는 "치매 환자들을 위해 각종 지원하는 건 찬성하지만, 결국 이 비용은 누가 부담하는지 아냐"며 "현재 노년층이 다 보장받고 나면, 지금 청년층이 나이 들었을 때 재정 부족분은 누가 메워주냐"고 반문했다.

E씨는 "치매 환자들은 자신의 이름도, 나이도, 심지어 계절도 모른다"며 "방금 나갔다 다시 들어와서는 왜 안 나가냐면서 따진다. 체력은 되레 전보다 더 좋아지지만, 사고력은 영유아 수준이라 보호자들이 너무 지친다"고 푸념했다.

F씨는 "훗날 노인이 되어 치매 걸리면 주변에 안락사 시켜달라고 할 것"이라며 "자식들이 요양비 대느라 등골 휘는 모습 보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G씨는 "'긴 병에 효자 없다'라는 속담에 나오는 긴 병이 바로 치매다. 벽에 속칭 똥칠하면서까지 오래 살까 두렵다"며 "치매는 조기진단으로 진행을 늦추는 게 현재로선 최선이다. 진단비용 의료보험 적용될 수 있게 하고, 조기진단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씨는 "치매는 주변 여러 사람 고생시키는 고약한 질병인데, 나라에서 관리 안 해주면 사회적 비용이 너무 커 개별 가정이 감당할 수 없다"며 "건강보험 재정만 따지고, 그냥 방치한다는 건 치매환자 가정에서 알아서 하라는 뜻인데 과연 이게 감당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치매환자 치료를 위한 국내 요양병원들이 의료 선진국에 비해 시설수준이 낮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치매환자수는 2015년 64만8000명(유병률 9.8%)에서 2050년에는 271만명(15.1%)으로 예상되는 등 치매 해결은 우리에게도 시급한 과제라는 분석이다.

25일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국제치매정책동향 2017'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BPSD(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치매로 인한 난폭행동)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치매친화적이면서 안전하고 치료적인 환경 구축이 우선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 선진국 사례를 살펴보면 프랑스는 일반적으로 평균 10~12병상에 공동거실, 배회공간, 프로그램실 등을 기본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우수병원들은 다중감각공간, 진정실, 야외공간, 정원 등을 갖춰 치매환자의 치료를 돕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UCC(치매전문병동) 관련기준에 환경(색감·재질·마감·소음·조명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을 통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게 효과적인 치료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환자 1인당 약 5.4평의 병상과 공동거실, 배회공간, 생활기능회복실, 욕실 등을 기본배치토록 하고 있다.

◆韓 치매전문병동 거의 없어…시설 확충·개선 시급

우리나라 요양병원은 일부 공립요양병원을 제외하고는 치매전문병동이 존재하지 않아, 치매환자를 위한 안전하고 치료적인 시설과 환경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게 중앙치매센터의 지적이다.

면적을 살펴봐도 일본은 환자당 약 5.4평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1인실이 3평, 다인실은 1인당 1.9평에 불과하다. 현재 요양병원 시설기준에는 배회공간이나 프로그램실이 필수공간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나마 환경적인 측면에서 휠체어이동공간, 문턱제거,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과 마감, 안전손잡이 등을 구비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나 치매환자의 증상이 완화될 수 있는 색감·소음·조명 등 치료적 환경요소 기준은 빠져 있다.

센터는 "치매전문병동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치매환자 치료를 위한 시설과 환경적인 요소가 충분히 구비된 병원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센터는 치매안심요양병원(치매전문병동) 지침 개발시 치매전문병동 규모는 40~60병상 내외를 기준으로 하고, 병원 규모가 큰 경우 최대 80병상까지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프랑스처럼 1인실 규모를 늘린다거나 1인당 면적을 일본처럼 5평까지 확대하고,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1인실과 다인실의 사용기준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센터 측은 "필수 기본 배치공간 기준이 치매안심요양병원 지침에 명확하게 명시해야 한다"며 "프랑스처럼 색감, 기자재 등 임상적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필수 환경요소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노인, 치매 위험 40% 낮아져

잠드는데 30분 이상이 걸리거나, 하루 8시간 이상을 자는 노인은 인지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60세 이상 노인 2893명을 대상으로 수면습관과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의 상관관계를 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인지기능에 문제가 없는 노인의 경우 누워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30분 이상이면, 30분 미만보다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40% 높았다. 총수면 시간이 8시간 이상인 노인도 8시간 미만인 노인보다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70%나 상승했다.

특히 4년 동안 이런 수면 패턴이 지속하거나,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차 늘어난 사람들은 인지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2배로 치솟았다.

이에 반해 수면시간이 8시간을 넘지 않으면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오히려 40%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기준을 취침과 기상 시간의 중간점이 새벽 3시인 경우로 정했다. 7시간을 자는 노인이라면 11시30분에 잠자리에 들어 6시반에 일어나는 셈이다.

가벼운 인지장애(치매)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잠들 때까지 30분 이상 긴 시간이 걸린 사람들이 4년 후 인지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30% 낮았다.

주목할만한 점은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낮은 패턴으로 수면습관이 변화한 경우에도, 인지기능 저하 위험은 줄어들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수면습관이 직접적으로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이미 진행되고 있는 인지기능의 저하를 나타내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기웅 교수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 확률이 낮아 상대적으로 늦게 취침에 들고, 늦게 일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이가 들면서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크다"며 "정기적인 검진에 더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