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취업자 10명중 4명 인공지능 대체 고위험군”

사무·판매·기계조작 등 1136만명 해당 / ‘스마트 팩토리’직격탄… 중산층 더 취약 / 정부, AI기술 확보 위해 2조2000억 투입 / 2022년까지 최고급 연구인력 5000명 양성
국내 취업자 10명 중 4명 이상이 인공지능(AI)에 의해 일자리를 뺏길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I의 비약적인 발전이 가져올 우려스러운 미래의 한 단면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반 기술인 AI 연구개발(R&D)을 소홀히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앞으로 5년간 대대적인 AI R&D 전략 확대에 나설 계획인 가운데, 인간을 위협하는 AI 시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LG경제연구원은 15일 발표한 ‘인공지능에 의한 일자리 위험 진단’ 보고서에서 국내 노동시장 일자리의 AI 위험도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2013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경제학자 프레이 교수와 AI 전문가 오스본 교수의 연구 결과를 한국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국내 423개 직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확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전체 취업자 2660만명(지난해 상반기 기준)의 43%에 해당하는 1136만명이 AI로 대체될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전체 고위험 일자리의 72%(818만명)가 몰려 있는 사무직, 판매직, 기계조작 등이 3대 고위험 직업군으로 조사됐다. 사무 종사자의 경우 경영 관련 사무원, 회계 및 경리 사무원, 비서 및 사무 보조원, 고객 상담 및 기타 사무원 등이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종사자의 경우 방문노점 및 통신 판매 관련 종사자가 고위험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제조업 등에 고위험 일자리 63%가 집중됐다. 학력 및 소득으로 보면 중위층 일자리에서 고위험 비중이 높게 나타나 중산층의 충격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월평균 소득 수준이 100만~200만원, 200만~300만원인 취업자의 고위험군 비중이 각각 47%로 가장 컸다. 국내 전체 취업자의 60%가 이 구간에 분포하고 있다.

김건우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정부는 인공지능으로 인한 경제 구조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며 “개인과 기업들은 인공지능으로 인한 경쟁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2022년까지 2조2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한 AI R&D 전략 등 AI 확대 정책 역시 딜레마적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6차 회의에서 ‘5년 안에 세계 4대 AI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는 AI 전략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전략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국방·의료·안전 등 공공분야를 대상으로 우선적인 대형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이를 통해 머신러닝, 시각·언어지능 등 범용기술 연구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AI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시작해 2023년까지로 계획된 ‘AI국가전략프로젝트’를 확대 개편해 17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 AI 핵심·차세대 원천 기술을 개발할 ‘고급인재’와 AI 응용 신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할 데이터 활용 중심 ‘융복합 인재’로 구분해 5000명 규모의 전문가도 육성한다. 이를 위해 2019∼2022년 6개 인공지능 대학원을 신설하고, 기존 대학연구센터의 AI 연구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