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美 지방 경매사에서 ‘강노 초상’이 140여년 만에 발견됐다

<9> 강세황 집안 5대 초상화의 이력
국립중앙박물관 서화실에서는 올해 8월 7일부터 ‘강세황과 진주강씨 5대 초상’이라는 특별한 초상화 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맨 처음에 걸려 있는 그림은 조선 말기의 문신 ‘강노(姜?, 1809∼1886)’의 초상이다. 강노는 1871년 정2품 병조판서, 1872년에 정1품 좌의정에 올랐던 분이다. 전시된 5점의 초상화 중 마지막인 5대째에 해당하는데, 박물관에 소장된 시점도 지난해 12월로 가장 늦다. 이 전시가 기획된 이유도 이 강노의 초상이 들어옴으로 인해 5대의 초상이 모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1년 전인 2017년 10월 18일, 해외 경매시장에 나온 문화재들을 검토하던 중 초상화 한 점이 눈에 들어왔다. 처음 보는 인물의 초상이었다. 사진으로만 보아도 한국 사람을 그린 우리 그림이 분명했다. 양미간에 주름이 생길 정도로 눈에 힘을 주고 앞을 응시하는 모습, 큰 코와 꼭 다문 입이 어딘가 고집스러워 보이는 매우 강한 인상을 주는 모습이었다. 특히 연륜의 흔적인지 눈을 살짝 찌푸려 생긴 것인지 모를 눈가의 주름은 또렷한 눈동자 주위를 동심원처럼 맴돌아 앞에 있는 사람을 노려보는 듯한 시선이 매서웠다. 강노 초상화와의 인연은 그렇게 시작됐다.

‘배채’를 확인할 수 있는 강노 초상화 지난해 10월 미국의 한 경매사에 출품된 것이 확인돼 구입한 강노 초상이 환수되면서 강현부터 강노까지 진주강씨 5대의 초상화가 한자리에 모였다. 초상화의 뒷면은 조선시대 초상화의 대표적인 특징이자 장점인 배채를 활용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강현부터 강노까지… 진주강씨 5대의 초상화

이 그림을 내놓은 곳은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미국의 작은 지방 경매사였다. 그리고 이 그림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았다. 제목을 ‘조상을 그린 한국 초상화’(Korean Ancestor Portrait)라고 표기한 것이 그랬다. 작품 설명은 “검은 모자를 쓴 남자가 표범가죽을 씌운 의자에 앉아 있다”고 한 게 전부였다. 누구나 알 수 있는 그림 묘사에 불과했고, 초상화라면 제일 궁금한 부분, 즉 이 인물이 누구인지에 대한 내용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 눈에는 주목되는 부분이 있었다. 작은 사진으로 보아도 화면 오른쪽에 무언가 글씨가 쓰여 있는 것이 보였기 때문이다.

‘姜判府事 貞隱 己巳生 七十一歲 乙卯 九月 眞像.’(강판부사 정은 기사생 칠십일세 을묘 구월 진상)

‘판부사’는 ‘판중추부사’의 준말로, 조선시대 고급 관리들이 모인 중추부의 종1품 관직이다. 분명 기록이 있을 것이었다. ‘정은(貞隱)’이라는 이름을 찾아보니 좌의정을 지낸 강노의 호임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강이구(1777∼1842), 할아버지는 강빈(1745∼1808), 증조할아버지는 표암 강세황(1713∼1791)이다.

강세황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화가, 문인이자, 평론가이며 ‘18세기 예원(藝苑)의 총수’라 일컬어질 정도로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 대단한 집안 출신인 데다 좌의정까지 지낸 고위관료이니 예사 인물은 아니었다.

회화사 전문가들에게 좀 더 자문을 해보았다. 공통된 의견은 강노의 초상은 기존에 그 존재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 발견된 자료이고,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강현(1650∼1733), 강세황, 강인, 강이오(1788∼1857)까지 4대 초상화가 보존되고 있으므로 강노 초상까지 더해지면 한 집안의 5대 초상화가 한자리에 모이는 전무후무한 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중요한 자료이므로 반드시 국내로 다시 들여와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

진주강씨 4대 초상화 강현, 강세황, 강인, 강이오(왼쪽부터) 진주강씨 4대의 초상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강노 초상까지 합쳐 5대의 초상화가 한자리에서 전시 중인데 얼굴이 많이 닮아 한 핏줄이라는 걸 한눈에 알 수 있다.
그런데 강인 초상은 불과 얼마 전에야 세상에 나온 초상화가 아닌가. 강노 초상을 경매에서 발견하기 꼭 한 달 전인 9월 19일, 강인 초상이 국내의 한 경매에 출품되었다. 경매도록의 표지에 실릴 정도로, 그 경매에서 가장 주목받고 화제가 된 작품이었다. 강세황의 초상화를 제작할 당시 남은 비단을 이용해 강인의 초상을 그렸다는 기록만 알려져 왔는데, 그 그림이 실제로 세상에 나타난 것이었다. 이런 내용은 강세황의 셋째 아들 강관(1743∼1824)이 남긴 ‘계추기사(癸秋記事)’에 나오며 이태호 교수의 논문을 통해 밝혀진바 있다. 강세황 부친인 강현의 제삿날에 가족들이 강현과 강세황의 초상을 펼쳐놓고 집안일을 추억했다는 사실도 들어 있다. 기록에만 전하는 그림이 나타난 것도, 아버지를 빼닮은 외모도 참으로 신기한 일이었다. 당시 경매장에 직접 가서 그림을 보고 경매상황도 지켜본 터라 판매되었다는 것까지는 알고 있었다. 그런데 강노 초상 일로 자문을 하며 조사해보니 당시 구매자가 국립중앙박물관이었고, 아직은 공개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 강노 초상이 돌아온다면 그 의미가 더욱 커질 터였고 소중한 문화적 자산을 잘 보존하고 여러 대중이 공유할 기회가 생기는 것이었다.

김동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활용2팀 차장
◆구매 작업에 발 벗고 나선 초상화 전문가들

경매일은 1주일 후인 10월 26일이었다. 시간이 많지 않으므로 신속하게, 하지만 실수 없이 일을 진행해야 했다. 주말에도 전문가 평가위원회가 열렸다. 갑작스러운 부탁에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분들이 계셨고, 개인일정을 미루고 달려온 분들도 있었다. 이 초상화를 국내로 들여오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전문가들이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유물의 이력조사도 동시에 진행됐다.

그림 판매를 위탁받은 경매사는 미국 남부 조지아주의 유서 깊은 도시 서배너에 위치해 있다. 그림의 소유주는 역시 서배너에 살고 있는 미국인이었다. 뉴욕시에 사는 한 사람이 강노 초상을 포함한 자신의 재산을 가톨릭 교회에 기부했고, 그 교회가 기부물품을 처분하기 위해 내놓은 것을 구입했다고 했다. 강노의 후손들을 통해서도 내력을 추적했는데, 알지 못하는 그림이라고 했고 조상의 그림을 찾아온다면 매우 감사한 일이라고 응원했다.

구입하기로 결정한 것은 10월 23일 최종 평가위원회에서였다. 다음날 경매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 초상화 연구의 권위자인 조선미 교수와 미국으로 출국했다. 조 교수는 실물을 보고 최종적으로 확인해 줄 것이었다.

미국에 도착해 서둘러 찾은 경매사에서 그림을 직접 본 조 교수의 표정을 잊을 수가 없다. 생각했던 대로 좋은 작품이어서 생긴 안도감과 잘 전해진 데 대한 고마움, 좋은 그림을 본 행복함이 복합된 표정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초상화 연구의 권위자로서 자신 있게 판단하고 출장을 결정했지만 내심 실물이 사진만 못하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도 있지 않았을까 짐작해본다.

◆후손과 꼭 닮은 조상, 과거와 현재를 잇는 초상화

실물 그림은 사진으로 본 것보다 훨씬 우수했고 보관 상태도 좋았다. 배접을 했던 흔적이 없어 장황을 하지 않고 원래 그린 상태 그대로 보관된 것 같았다. 쉽게 보기 힘든 초상화 뒷면의 배채된 모습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배채는 조선시대 초상화의 대표적인 특징이자 장점으로, 밑그림을 그린 후 그림 뒷면에 먼저 채색을 하여 색이 앞으로 비추어보이도록 한 다음, 앞면에 다시 색을 칠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채색에 깊이가 더해지고, 색을 잘 보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비단을 써서 배채를 하는데 이 그림은 얇은 닥종이를 사용했다.

경매사는 예상대로 소규모였다. 감정과 경매를 담당하는 사장 한 명, 회계를 담당하는 직원과 보조 직원이 다였다. 지역에서 나오는 온갖 물건을 다 취급하는 곳으로 한국 회화에 대한 지식을 갖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런 곳에서 우리의 귀중한 문화유산을 찾아낸 것은 천운이었다.

2017년 12월 8일 그림을 국내로 들여와 국립중앙박물관에 이관했고, 12월 19일 공개행사를 가졌다. 언론의 보도가 나온 뒤 달린 댓글을 보니 재밌는 반응이 많았다. 5대에 걸친 초상화 주인공들의 모습이 너무나 닮아 있어 신기하다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공개행사를 찾은 진주강씨 후손이 그림 옆에 서니 역시 한 집안 사람이구나 싶어졌다.

문화재가 단지 과거에서 박제된 물건이 아니라 과거 조상들의 문화와 그들의 모습과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를 이어주는 소중한 매개체라는 걸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김동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조사활용2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