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국정원, 최첨단 3D 스캔 기술로 김정은 건강 현미경 체크· 풍계리 흙도


국가정보원이 최첨단 3차원(3D) 스캔 기술을 이용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있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한 것으로 2일 밝혀졌다.

또 북한 핵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5월 북한이 폭파해 폐기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서 흙을 가져와 정밀 분석 중이다.

국정원은 지난달 31일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정감사 때 슈퍼컴퓨터용 최첨단 3D 스캔 프로그램을 이용해 김 위원장 몸을 360도 모든 방향에서 스캔한 뒤 이전과 이후의 몸상태를 분석, 특정부위에서 일어난 미세한 변화를 집중적으로 살핀다고 했다. 

이는 2015년 톰 크루즈가 주연한 영화 '미션 임파서블 : 로그네이션'에 나온 걸음걸이 보폭, 속도, 자세 등으로 사람을 구분하는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한 것과 같다. 


국정원이 보유한 3D 프로그램에 김 위원장이 등장하는 각종 동영상을 입력하면 김 위원장 몸을 360도로 스캔, 이전 체형과 달라진 부분을 분석하면 건강상태를 어느정도 파악가능하다.

김 위원장이 뒷짐을 지고 걸을 경우 허리에 통증이 있어서 그런 것인지 전립선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뛰어나다.

국정감사 때 국정원은 "고혈압과 당뇨 등 가족 병력이 있다"면서도 "비교적 양호하다"라는 선에서 말을 아껴 김 위원장 건강 상태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알리지 않았다.

국정원은 "지난 5월 24일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직후 현장에서 채취한 흙을 국정원 안팎의 전문가에게 의뢰해 현재 분석 중"이라고 보고했다.

풍계리 흙을 확보할 수 없었언 과거엔 동해상 등에서 공기 중 방사성 물질을 수집해 핵실험 여부와 폭탄의 종류를 가늠해 왔다.

하지만 흙의 경우 정보가 훨씬 풍부해 북한 핵 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분석에는 해외 정보기관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