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지정·등록은 부동산을 통한 재산 증식과는 대체로 상극이다. 보존을 위해 해당 문화재의 현상변경이 엄격히 제한되기 때문이다. 국보, 보물과 같은 지정문화재라면 주인이 못 하나 마음대로 박을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원형 유지를 위한 강력한 보존대책이 적용된다. 주변에 설정된 보존구역 내 가옥이나 환경을 바꾸는 것도 어렵다. 활용 비중이 높은 등록문화재(50년 이상된 근·현대기의 문화재)는 상대적으로 덜하긴 해도 제약이 있기는 마찬가지다. 사정이 이러니 주민들에게 문화재란 재산권 행사를 가로막는 장애물 취급을 받기 일쑤다.
강구열 문화체육부 차장 |
청와대 안주인이 거론될 정도로 의혹과 관련된 정치권의 정쟁이 가열되면서 걱정인 것은 문화재를 경제 활성화의 기반으로 만들려는 이런 드문 시도가 무엇 하나 해보지도 못하고 꺾이지는 않을까 하는 점이다. “투기를 조장한 것처럼 되어버렸다”는 담당 공무원의 한숨은 흘려 들을 게 아닐 성싶다.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사업은 계획대로 추진할 것”이라는 이낙연 총리의 약속, “정책 기조에 변함은 없다”는 문화재청의 다짐이 허언이 아닐지는 두고 볼 일이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건 지역민의 혼란이다. 손 의원을 은인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외부인의 어설픈 개입으로 난장판이 되었다고 분개하는 이들도 있는 모양이다. 지역민들은 근대문화유산의 주인이 아니라 의혹을 둘러싼 논란의 구경꾼처럼 되어 버렸다. 투기 여부에 온통 관심이 쏠리다보니 앞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비슷한 문제를 어떻게 예방하고, 대응할지에 대한 논의는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목포 문화재 야행’ 취재를 위해 근대문화유산 지역을 찾은 적이 있다. 오랜만의 축제에 곳곳이 술렁였다. “거리가 활기차다”고 덕담 삼아 주민에게 말을 걸었다. “이런 거라도 없으면 누가 여기를 오기나 하나….” 무심한 대답에 당시엔 흘려들었으나, 이제와 생각해 보면 활력 잃은 거리를 근심하면서도 문화재 활용으로 사정이 나아질 수 있지 않겠냐는 기대를 드러낸 게 아니었나 싶다. 지역민에겐 희망 중 하나인 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업이 지금의 논란을 털고, 계획대로 추진되어 성과를 거두길 바라는 이유다.
강구열 문화체육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