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과 여덟 살 딸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에서 순조로운 일상을 영위하던 ‘나’는 어느 날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를 당하게 된다. 대형 사고였지만, 사고 현장으로부터 멀쩡하게 걸어 나올 수 있었을 만큼 부상은 가벼웠다. 외상이 없으니 회복도 신속할 줄 알았던 ‘나’는 시간이 지나도 진전이 없자 체력과 정신력의 한계에 부딪힌다. ‘나’를 한계에 몰아넣은 건 자신의 취약 부분, 바로 부모와의 관계임을 더딘 회복 과정에서 깨닫게 된다.
중년에 접어든 ‘나’와 남편은 각자의 고국을 떠나온 지 스무 해가 넘었으며 이들의 원 가족은 모두 고국에 있다. 폭력 가정에서 자란 ‘나’는 성인이 된 후 부모와 물리적 거리를 두며 살고 있었다.
그러다 교통사고로 인해 체력과 정신력의 밑바닥에 떨어졌을 때 위로받지 못한 어린 자신을 만나게 되고, 아직도 질기게 연결된 부모와의 정서적 거리를 경험한다. 교통사고가 ‘나’ 자신을 밑바닥까지 가라앉게 한 동시에 의식적으로 지워왔던 겁에 질린 어린아이를 만나게 해준 셈이었다. 눈속임에 성공한 의식이 어린아이를 지우는 동안 눈가림할 수 없는 무의식이 그 아이를 숨겨주고 있었다. ‘나’의 회복은 이 아이와의 대면에서부터 시작된다.
지난 세월 동안 ‘나’는 상처받은 자신을 위로하는 것보다 자신에게 상처 준 부모를 이해하는 것에 온 힘을 써왔다. 아프다는 소리를 누구에게도 안 했다. 심지어 자신에게도 한 적이 없었다. 참고 이해하는 것이 부모를 사랑하고 자신이 자라는 방식이었다.
폭력 가해자였던 아빠는 고인이 됐더라도 그의 존재는 여전히 ‘나’의 원 가족 삶 속에 있고, 엄마는 죽은 아빠를 거듭 끄집어내며 자신의 희생에 대한 보상을 ‘나’에게 끊임없이 요구한다.
엄마는 폭력 피해자였기에 마땅히 보상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아낌없이 주던 ‘나’였지만, 자신이 밑바닥에 있을 때도 당신을 보살피지 않는다고 퍼붓는 엄마를 보며 지금껏 ‘나’가 믿어왔던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분법에 대해 의심하기 시작한다. 이미 회복된 줄 알았던 남편마저 부친의 죽음으로 인해 순식간에 나약한 상태에 빠지고, 죽음이라도 종결을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경험한다.
‘나’의 이야기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소설의 형태로 완성되었지만, 여전히 열려 있고 진행 중인 이야기를 품고 있다. 어떤 형태의 삶을 살든 가장 협소하고 내밀한 부분은 시공간을 초월해 유사하다. 가장 협소한 곳에 가족이 있고 가장 내밀한 곳에 자신이 있다. 시선을 돌리지 않는 곳에 이 글이 있기를 바란다.
이봉주
이민생활 중 교통사고… 지쳐버린 나… 감춰왔던 폭력가정의 상처와 대면 [창간 30주년 제 15회 세계문학상]
기사입력 2019-02-01 06:00:00
기사수정 2019-01-31 21:04:57
기사수정 2019-01-31 21:0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