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자동화 시대 고령층 적합 일자리는 대인서비스 분야”

자동화시대 고령층에 맞는 일자리는 대인서비스 직종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이터치연구원 유한나 선임연구원은 12일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보고서를 발표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 국가의 2011∼2017년 연도별 패널 자료를 사용해 고령화의 자동화 촉진 효과를 직무 유형별로 실증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층의 대인서비스(비반복적 육체노동) 비중이 OECD 국가들의 25% 수준일 때 고령화 지표 1%가 증가하면 자동화 지표가 1% 증가하지만, 대인서비스 비중이 75% 수준일 때는 고령화 지표가 1% 증가할 경우 자동화 지표는 0.83% 감소한다. 이는 반복적 육체노동이 자동화를 촉진시키는 반면 자동화로 대체할 수 없는 대인서비스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자동화 속도가 늦어진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면 고령층의 반복적 육체 노동 비중이 1% 증가하면 일자리 자동화도 4%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층에 적합한 직업을 분류한 결과 간병인, 장애인 활동도우미,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방과후 아동돌보미 등이 적합한 것으로 나왔다. 유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고령층은 자동화되기 쉬운 반복적 육체 노동에 다수 종사하는 반면 자동화되기 어려운 대인서비스에는 22.1%만 종사하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령층의 특성이 반영된 대인서비스 분야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와 고령자들의 접근성이 개선되도록 일자리 정보시스템 통합과 적극적인 홍보가 절실하다”고 제안했다.

 

이우중 기자 lo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