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설왕설래] 몰래카메라

1990년대 후반 경기도 남양주 북한강변 모텔에 몰래카메라를 설치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이들은 브라운관TV의 화면조절 스위치를 뜯어내고 소형 몰카를 설치한 뒤 손님들의 은밀한 행위를 유선을 통해 비디오로 녹화했다. 손님 차량의 번호를 조회해 주소를 알아내고 집이나 사무실로 비디오테이프를 보냈다. 비밀스러운 향연을 들킨 손님들은 입막음용으로 거액을 내놓았다. 그러다가 협박을 받은 노부부의 신고로 범죄가 들통났다. 당시에는 비밀촬영이 죄가 되지 않았다. 돈을 뜯어낸 게 죄였다.

몰카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TV 프로그램 제작진이 한때 적극 활용했다. 미국 방송 ‘캔디드(Candid·진실한) 카메라’ 쇼는 아이디어가 기발했다. 진행자의 별난 장난에 속아넘어가는 시민들의 반응을 숨어서 촬영했다. 1948년 시작해 우여곡절을 겪다가 2014년에 막을 내렸는데 아직도 재방송이 인기를 끌고 있다. 몰카 심리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미국 코넬대와 덴버대는 캔디드 카메라 쇼를 토대로 정신분석학 연구를 하고 있다. MBC는 1991년 ‘이경규의 몰래카메라’로 인기몰이를 했다.

잘못 쓰면 망하기도 한다. 가수 정준영이 그런 사례다.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기도 한다. 서울 신촌의 한 백화점은 1997년 여자화장실에 몰카를 설치했다. 여성 고객들에게 상품 분실 혐의를 두고 몰카를 설치해 붙잡으려고 한 것. 언론 보도로 알려지면서 불매운동이 벌어져 백화점이 문을 닫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몰카 처벌죄가 도입됐다.

범죄자들은 진보된 기술의 활용에 발빠르다. 이제 무인텔에 설치한 연필심 크기의 초소형 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을 해외로 무선 전송하는 데까지 도약했다. 손님이 방문을 열고 들어갈 때부터 해외 서버에 연결된 사이트로 생중계했다. 화질은 HD급. 맛보기 중계방송을 보던 무료 회원들은 침을 삼키며 유료 가입으로 전환했다. 경찰은 모텔 복도를 돌아다니며 특정 무선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를 추적해 범인들을 집어냈다. 수년간 연구·개발에 공들인 와이파이 탐지 기술 덕이다. 특허까지 낸다고 한다. 범인들이 뛰면 경찰은 날았다. 그나마 다행이다.

한용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