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소리없는 저격수’ 뇌졸중이 당신을 노린다

증상과 치료·예방법 / 찬바람 불고 일교차 큰 계절 위험 / 만성질환 50대 이상서 주로 발병 / 팔다리 마비·언어장애 제일 흔해 / 70∼80%가 영구적 장애로 남아 / 전조증상 있으면 바로 병원가야 / 고혈압 등 고위험인자 치료 중요

10월 29일은 세계뇌졸중기구(World Stroke Organization)가 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세계 인구 6명 중 1명은 자신의 일생 중 뇌졸중을 경험하는 만큼 뇌졸중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해 이날을 정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뇌졸중은 사망 원인 중 단일 질환으로는 심장 질환과 늘 1, 2위를 다툰다. 예고 없이 찾아와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겨 ‘소리 없는 저격수’로 불린다. 요즘 같이 일교차가 커지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이 높아지면서 그 발생 빈도가 급증한다. 전문의들은 이 시기부터 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이 있는 50대 이상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뇌졸중의 증상과 치료·예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일단 발병하면 운동·언어장애 등 영구장애 위험

뇌졸중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혈관이 망가져서 생기는 질환이다. 크게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의 파열로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돼 발생하는 뇌출혈(출혈성 뇌졸중)로 나뉜다. 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산소와 피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뇌는 손상이 되는데, 이때 뇌의 어느 부위가 손상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과거에는 대체로 50대 이상에서 주로 발병했으나 요즘은 신체·정신적 스트레스가 많고 평소 운동이나 건강검진 등으로 자신을 돌볼 시간이 없는 30~40대에서도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게 특징이다.

일단 발병하면 흔한 증상은 한쪽 팔다리의 마비다. 이 외에도 언어장애, 시각장애, 어지럼증, 의식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발병하면 약 9% 정도의 환자만 완전히 회복되고, 70∼80%의 환자는 영구적인 장애로 고통을 받는다.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뇌졸중에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뇌졸중과 동맥경화의 은밀하고 불편한 관계

서울 서남병원 신경과 윤영신 과장은 “뇌졸중은 갑자기 찾아오는 병 같지만 사실은 오랜 기간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생긴다.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 고지혈증 등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위험인자를 방치하지 말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혈관 벽이 압력을 받아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면서 정상인에 비해 뇌졸중의 위험이 많게는 5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심장 질환자는 2배 이상, 당뇨병 환자도 뇌졸중 발생 위험이 2배 정도 높다. 뇌졸중의 70~80%가 뇌경색임을 감안하면 동맥경화증이 그 주범임을 알 수 있다. 동맥경화증이란 동맥 내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이 두꺼워지다가 마지막에는 좁아지고 막히는 상태를 말한다. 동맥경화증은 꽤 오랫동안 증상이 없는 상태로 진행하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발병한다. 보통 동맥경화가 시작되어 뇌졸중 등의 질환을 유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0년 이상이다. 따라서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혈관에 동맥경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매우 빠르게 뛰는 심방세동도 주의해야 하는데, 심장에 혈액이 고이면서 혈전이 생기고, 이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서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이 밖에도 과도한 음주, 운동 부족, 경구 피임약 복용도 뇌졸중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응급질환으로 인식하고 전조증상 있으면 바로 병원 가야

고대 구로병원 신경과 김치경 교수는 뇌졸증은 증상에 따른 빠른 치료가 관건이라고 강조한다. 김 교수는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은 뇌에 즉시 산소공급을 재개해야 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막힌 부위의 뇌혈관 세포는 5분 내로 죽지만 주변 부위는 다른 뇌혈관의 도움을 받아 최대 3시간 정도 버틸 수 있다고 여겨진다. 쓰러진 환자가 병원에 도착해 혈관의 막힌 부위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이 1~2시간 정도이기에 환자는 가능한 한 빠르게 병원에 도착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어떤 증상이 있을 때 뇌졸중을 의심해볼 수 있을까. 대체로 △갑자기 몸의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질 때 △입술이 한쪽으로 돌아갈 때 △말이 어눌해지거나 상대방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때 △걸음걸이가 불편할 때 △갑자기 머리가 극심하게 아프면서 구토가 발생할 때 등을 주요 전조 증상으로 꼽는다. 경각심을 가져야 할 점은 이런 뇌졸중의 전조 증상들이 ‘갑자기’ 발생한다는 것이다. 서남병원 신경과 윤영신 과장은 “뇌졸중은 갑자기 일어나지만, 뇌혈관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손상이 일어난다”며 “막연한 공포를 갖기보다는 평소 정기적으로 병원 진료를 통해 위험 인자를 조절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싱거운 음식 위주로 먹는 식이요법을 실천하면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태해 선임기자 pth1228@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