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安의 복귀’… 제3지대 흔들까? 찻잔 속 태풍일까?

향후 ‘선택’ 전망 / ‘창업주’인 바른미래당行 가능성 높아 / 안철수계 잔류… 재창당 ‘녹색돌풍’주목 / DJ 때처럼 ‘신당 창당 카드’ 꺼낼 수도 / 중도층 확장 시도 보수야당 러브콜 예상 / 일각 “혁신 이미지 소진… 미풍 그칠 것” / 전문가 “본인 변화·실질적 정치력에 달려”
2016년 2월 당시 대전에서 열린 국민의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된 뒤 연설하는 안철수 전 의원. 연합뉴스

4·15 총선 100여일을 앞두고 ‘잠룡’ 중 하나로 분류되는 바른미래당 안철수 전 의원이 2일 1년4개월여 만에 정계 복귀를 선언함에 따라 총선 지형에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중도·실용 정치를 강조해 온 안 전 의원이 정계 복귀 후 선택할 길을 크게 네 가지로 전망한다.

우선 안 전 의원이 ‘창업주’인 국민의당을 모태로 한 바른미래당으로의 복귀 가능성이다. 지난해 말 안 전 의원이 돌아오면 대표직을 사퇴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는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바른미래당과 중도개혁세력의 총선 승리를 위해, 그리고 한국 정치의 미래를 위해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며 “그가 원하는 것을 모두 받아들이고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환영의 뜻을 표했다.

정계복귀를 선언한 안철수 전 대표가 2018년 서울시장 후보 시절 유세 차량에 오른 모습. 뉴스1

이는 권은희·김삼화·이동섭 의원 등 안철수계는 물론 과거 국민의당에서 한솥밥을 먹던 호남계 의원들이 바른미래당에 잔류하고 있는 만큼 정치 재개에 필요한 인적·조직적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바른미래당을 기반으로 재창당 선언을 통해 2016년 20대 총선에서의 국민의당 ‘녹색 돌풍’ 재현을 시도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반대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정계복귀를 할 때처럼 신당 창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전 대통령은 1995년 정계복귀를 하며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한 뒤 기존 정당에 있던 의원들이 대거 합류해 세를 늘렸고, 1997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제3정당으로서의 보폭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 정당과 다른 차별성을 강조하며 ‘창당’ 카드를 꺼내 정치를 재개할 수 있다. 바른미래당으로 복귀하더라도 ‘전권을 넘기겠다’는 손 대표의 약속을 마냥 신뢰할 수 없는 등 기득권과 마찰을 빚을 경우 생채기를 피할 수 없는 것도 이유다. 안 전 의원 중심의 신당 창당을 통해 각 당에서 탈당한 현역 의원들이 모일 경우 ‘안철수 신당’이 기호 3번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다.

안철수 페이스북 캡처

‘중도층 확장’을 꾀하는 보수 야당들의 러브콜도 쇄도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거론하는 ‘보수대통합’에 뜻을 함께 하거나, 한솥밥을 먹은 유승민 의원의 ‘새로운 보수당’ 참여도 거론된다. 중도 확장이 절실한 한국당은 그동안 안 전 의원에게 ‘문재인 정권 심판’을 앞세워 구애를 해왔다. 하지만 안 전 의원은 이날 복귀 선언에서 “이념에 찌든 기득권 정치 세력들이 사생결단하며 싸우는 동안 우리의 미래, 우리의 미래세대들은 계속 착취당하고 볼모로 잡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어 한국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큰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보수당과의 합칠 경우 ‘국민의당’ 재탕이란 이미지가 강하다.

 

일각에선 안 전 의원의 복귀를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관측한다. 과거 혁신의 ‘아이콘’ 이미지는 이미 다 소비됐고 정치 활동을 하며 안 전 의원이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을 여러 차례 노출해 ‘참신함’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한국갤럽의 차기 정치지도자 호감도 조사에서 안 전 의원은 호감도 17%, 비호감도 69%를 기록했다. 조사대상 7명 중 호감도는 가장 낮고 비호감도는 가장 높았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출마자 아카데미 입학식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기대감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과거처럼 ‘안철수 신드롬’이 다시 불 정도인지는 본인이 얼마나 변했나에 달려 있다”며 “예전에는 정서적인 인기 이런 것에 불과했다면 이제는 그것으론 부족하고 실질적으로 정치력이 있는지를 보고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귀전·곽은산 기자 frei5922@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