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연락사무소 이어 軍통신 전화도…“북측, 남북 통신·함정간 전화 안 받아”

2018년 동·서해지구 완전 복구 뒤 약 2년 만에 다시 단절 위기

북한이 9일 오전 남북 간 군(軍) 통신선을 통한 정기 통화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9일 ‘남조선 당국과 탈북자 쓰레기들을 단죄·규탄하는 청년학생들의 항의 시위행진이 7일과 8일 평양시와 각 도에서 있었다’며 보도한 사진. 평양=노동신문 뉴스1

국방부에 따르면 북측은 이날 오전 9시쯤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한 전화 시도에 응답하지 않았다. 양측 함정 간 국제상선공통망(핫라인) 전화에도 응답하지 않았다. 남북 군사 당국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이용해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4시에 두 차례 정기적인 통화를 해왔다. 전날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정기 통화에 한때 북측이 응답하지 않았던 상황과 달리 군 통신선과 함정간 통신은 이날도 정상적으로 가동됐다.

 

그러나 북측이 9일부터 갑작스레 통신선과 함정간 전화에 응답하지 않은 것은 북한이 남북간 연락선을 모두 ‘폐기’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조처로 풀이된다.

 

특히 서해지구 군 통신선은 남측이 북측에 보내는 대북 전화통지문을 발송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지난해 11월 서해 창린도 해안포 사격과 지난 5월 GP 총격사건 발생 때도 남측은 군 통신선을 통해 대북전통문을 보낸 바 있다. 다만 북한은 항의성 대북전통문에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은 2018년 4·27 판문점 선언과 이후 남북장성급군사회담 합의의 산물로, 2018년 7월(서해지구)과 8월(동해지구)에 순차적으로 완전 복구됐다. 동해지구의 경우 2010년 11월 산불로 완전히 소실된 이후 8년 여 만, 서해지구는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함께 단절된 이후 2년 여 만에 각각 복구된 것이었다.

 

 

하지만 북측이 예고한 대로 군 통신선 단절로 남북한 군 소통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군사적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북한 김여정(앞줄 왼쪽 두번째) 노동당 제1부부장이 지난 6월 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개최한 당 정치국 회의에 참석한 모습. 평양=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지난 4일 대북전단 살포를 비난하면서 금강산 관광 폐지, 개성공단 완전 철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연락사무소 폐쇄 등을 후속조치로 언급한 뒤 이날 오전 북한은 김 제1부부장 이름으로 모든 남북 통신연락선을 완전히 차단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고 보도했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