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홍콩보안법 정국에… 中 부자들 ‘노심초사’

홍콩 둘러싼 美·中 갈등 확산 등 / 불확실성 커져 투자금 회수 고려 / 헤지펀드 업체들도 ‘탈출’ 움직임

중국 정부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을 강행하고, 홍콩이 미·중 갈등 최전선으로 부상하면서 홍콩에 투자했던 중국 본토 부호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0일 보도했다.

중국의 홍콩 국가안보법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홍콩 시내 쇼핑몰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뉴시스

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그동안 본토 주민을 대상으로 강력한 자본 통제와 해외 주식·부동산·금융 상품 직접투자 금지 등을 시행해 왔지만, 많은 중국인이 홍콩에 계좌를 개설하고, 보험증서를 구매하는 한편 부동산을 거래해 왔다. SCMP는 “중국 부유층은 자본 유출입에 대한 제한이 없고, 인터넷 검열이 없으며, 법치가 보장되는 장점 등으로 홍콩을 투자처로 선택해 왔다. 이는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홍콩 신규 보험증서의 25%는 중국 본토 주민이 구매했고,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홍콩 주식시장에 투자한 중국 본토 주민 수는 2018년 영국인 수를 넘어 외지인 중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또 중국 기업의 홍콩주식 시장 상장도 들어서 지난해 말 기준, 홍콩 상장사 중 50.7%인 1241개 회사가 중국 회사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홍콩보안법 제정으로 정치적 자유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고,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 박탈을 계속 경고하는 등 홍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중국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광둥성 출신의 한 중국인 투자자는 “홍콩에 투자한 자산이 얼마나 안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홍콩달러 상당수를 미국 달러로 환전할 필요가 있다. 지인 일부는 홍콩 부동산 매각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경제전문가는 “(홍콩에 투자한 중국인들이) 겉으로는 홍콩보안법을 강력히 지지하겠지만 동시에 자산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 반대의사를 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홍콩 헤지펀드 업계도 홍콩을 떠나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홍콩에는 약 420개의 헤지펀드업체가 있어 2위인 싱가포르에 비해 80개 정도가 더 많은데, 이러한 홍콩의 지위가 위태로워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 헤지펀드업체 고문은 “홍콩이 중국의 다른 도시들처럼 될 것”이라며 “헤지펀드업계는 싱가포르 등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이우승 특파원 ws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