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뜻 허무맹랑하고 고리타분한, 오래되어 사라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신화(神話)’는 지금도 우리 일상 깊숙한 곳에서 살아 숨쉬고 있다. 인어의 모습을 한 세이렌 여신(스타벅스)과 정복과 승리의 여신 니케(나이키), 뱀의 머리를 가진 메두사(베르사체), 포세이돈의 삼지창(마세라티)처럼 신화적 모티프가 상업적으로 활용된 사례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종교와 예술의 영역을 넘어 기업들마저 신화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그것이 지금도 강한 소구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브랜드 마케터들의 말처럼 신화적 상징은 소비자들의 무의식에 영향을 끼친다. 현대인들은 왜 까마득히 먼 옛날 이야기에 불과한, 거칠게 말해 미신이나 다름없는 신화에 끌리는 걸까.
20세기 가장 위대한 신화학자인 조지프 캠벨의 강연들(1958∼71년)을 한데 묶은 ‘다시, 신화를 읽는 시간’(권영주 옮김·더퀘스트)은 이를 이해할 단초를 제공한다. 캠벨은 “꿈은 개인의 신화이고, 신화는 집단의 꿈”이라 말하는데, 이를 풀어 얘기하면 고래로부터 이어져 온 인류의 ‘꿈’이 신화에 녹아 있다는 것이다. 고대인들의 꿈인 신화는 동시에 현대인의 꿈이기도 하다.
◆신화, 내면이 만든 세계
‘모든 신화의 뿌리는 인간 내면 세계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초월적이면서도 보편적이다.’ 신화에 대한 캠벨의 시각을 간단히 요약하면 이런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화란 고대인의 사유나 표상이 반영된 신성한 이야기나 우주의 기원, 신이나 영웅의 행적 등을 두루 이르는 것인데, 캠벨은 지역에 따라 그 모습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신화적 사고’는 네안데르탈인 때부터 현재까지 동일하다고 본다. 죽음에 대한 인식과 그것을 초월하려는 욕구는 예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 각지의 신화들을 살펴보면 어떤 유사성이 발견되곤 한다. ‘대홍수’가 대표적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구약성경 속 ‘노아의 방주’ 말고도 인도 신화 속 ‘브라마의 밤’은 물론 바빌로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아즈텍, 힌두교 등 신화에도 대홍수 모델이 등장한다. 뱀과 생명의 나무, 영생의 정원 같은 이미지들 역시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화와 전설, 미술과 의례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렇다고 신화의 외형이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신화적 질서’는 환경에 기반한다. 남성 구성원의 역할이 큰 수렵부족의 신화가 동물숭배적인 것과 달리, 열대밀림의 신화는 식물과 여성, 재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밀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패 식물에 새싹이 돋는 현상에서 비롯된 ‘죽음이 삶을 가져온다’는 믿음은 수천년간 이어진 인신공양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런 신화적 상징들은 종교와도 맞닿아 있는데, 캠벨이 큰 틀에서 종교와 신화를 묶는 핵심은 ‘영혼의 풍경’이다. 가령 기독교에서 말하는 ‘에덴동산’은 유사 이전의 실제 사건이 아니라 ‘영혼의 풍경’, 그러니까 인간 내면의 영적 상태에서 근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조현병 환자가 체험하는 이른바 ‘내적 낙하’에서 힌두교와 불교, 이집트 및 고대 그리스·로마 신화의 이미지가 발견되는 이유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형태의 신화적 사고나 신화적 원형이 나타나는 것은 그다지 이상하지 않은 일인 셈이다. 현대 과학이 대신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다른 차원의 고유한 정신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이 캠벨의 시각이다.
◆“신화는 살아 있는 이야기”
왜 지금 신화를 이해하는 일이 중요할까.
캠벨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카를 융의 설명을 빌려 인간 영혼에 보편적으로 존재한 어떤 ‘힘’이 신화 속에 담겨 있는데, 현대인이 이를 올바르게 해석하면 인간 내면의 힘과 연결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캥거루 주머니’ 비유를 들며 종교가 인간을 유년기에 머무르도록 하는 측면이 있다고 본 반면 신화는 가상의 사회 영역이 아닌 현실세계에서 이성적으로 기능하는 성인이 되도록 미성숙한 정신을 길러준다고도 보았다. 신화를 자연스러운 인간 성장 과정의 일부로 여기는 셈이다. 그는 “신화는 제2의 자궁에 못지않게 없어서는 안 될 생물학적 기관이고 자연의 산물”이라고 말했다.
꼭 종교나 심리적인 접근이 아니더라도 신화에 대한 통찰은 현재를 이해하는 데 여러모로 도움을 줄 수 있다. 가령 세계적인 흥행을 거둔 해리포터나 반지의 제왕, 어벤져스 시리즈를 뜯어보면 모두 ‘출발(Departure)→입문(Initiation)→귀환(Return)’이라는 영웅 신화의 구조가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신화가 소구력 있는 스토리텔링의 질료로 쓰인 것이다. 때로 신화는 인간이 겪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언어를 초월한 인간 내면을 인식하도록 돕기도 한다. 죽음과 늙음, 사랑 등 인간 삶의 본질은 수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화학자들이 “신화는 살아 있는 이야기”라고 하는 것이다.
이창수 기자 winteroc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