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홍남기 "숙박·음식, 도소매업 등 주요 대면 서비스업 취업자 감소폭 컸다"

"그만큼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파급 영향이 너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충격으로 9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0만명 가까이 줄었다.

 

취업자는 코로나19 사태 영향이 시작된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줄고 있다. 감소폭은 5월부터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코로나19 재확산에 9월 다시 늘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01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2천명 감소했다.

 

이는 지난 5월(39만2천명) 이후 4개월만의 최대폭 감소다.

 

취업자 감소는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 8월(-27만4천명)에 이어 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8월에는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는데 9월에 많이 반영돼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 도소매 등을 중심으로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은 취업자가 41만9천명 늘었으나 30대(-28만4천명), 20대(-19만8천명), 40대(-17만6천명), 50대(-13만3천명)는 모두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2만5천명), 도·소매업(-20만7천명), 교육서비스업(-15만1천명) 등에서 줄었다.

 

반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3만5천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10만6천명), 건설업(5만5천명) 등에서는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24만9천명 줄었고 비임금근로자가 14만3천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9만6천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30만3천명)와 일용근로자(-4만1천명)가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5만9천명, 무급가족종사자가 6만5천명 각각 감소한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1천명 늘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 휴직자'는 41만6천명(111.8%) 증가한 78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3%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줄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12년 9월(60.2%) 이후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7%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3년 9월(65.2%) 이후 최저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6%포인트 줄어든 42.1%를 기록했다.

 

60세 이상(1.1%포인트↑)을 제외하고 20대(3.1%포인트↓), 30대(2.4%포인트↓), 40대(1.5%포인트↓), 50대(1.5%포인트↓) 등 나머지 연령층은 모두 하락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801만2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7만6천명 줄었다.

 

실업자 100만명…'쉬었음' 2003년 통계작성 이래 최대

실업자는 100만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6천명 늘었다. 5월(13만3천명)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실업률은 3.6%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81만7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3만2천명 늘었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41만3천명으로, 9월 기준으로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였다.

 

'쉬었음' 인구는 20대(8만3천명↑), 30대(6만6천명↑), 40대(5만명↑), 60세 이상(5만1천명↑) 등 전 연령층에서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64만5천명으로 11만3천명 늘었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7%포인트 상승한 13.5%였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4.3%포인트 오른 25.4%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숙박·음식, 도소매업 등 주요 대면 서비스업의 취업자 감소폭이 컸다"며 "그만큼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의 파급 영향이 너무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12일부터 1단계로 완화되고 카드승인액 등 소비지표가 회복세를 보이는 점 등을 감안할 때 10월부터는 고용 개선세가 재개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