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日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하지만 “건강·안전 영향 충분히 고려한다”

韓 “충분한 사전 협의, 객관적이고 충분한 검증 있어야”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늘어선 오염수 저장탱크. 그 양이 무려 125만844t에 달한다. 아사히신문

 

한국과 일본이 세계보건총회(WHA)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배출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일본 측은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국제관례에 부합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 반면 우리 정부는 정보 검증을 촉구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오전 기조연설에서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과 관련한 정보 검증을 촉구했다.

 

권 장권은 “일본 정부의 투명한 정보 공개를 바라며 전례 없는 사안임을 고려해 이해 당사국과의 충분한 사전 협의 없이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WHO와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비롯한 국제 사회의 객관적이고 충분한 검증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날 오후 늦게 반론권을 얻은 일본은 그간 오염수 방출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해왔다고 반발했다.

 

사이타 유키오 주제네바 일본 대표부 공사는 오염수 해양방류에 대해 “과학적 증거에 따라 국제 사회에 투명하게 설명해왔다”며 “IAEA가 해양 방류를 기술적으로 실현할 수 있고 국제 관례에 부합한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 정부는 국제 기준과 관행에 기초한 조처를 할 것이며 환경은 물론 사람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일본의 반론권 행사에 대한 반론 자리에서 정보의 투명성과 객관적인 검증을 재차 촉구했다.

 

임성범 주제네바 한국 대표부 차석대사는 “일본 정부가 설명한 것과 같은 투명한 정보 공개 및 이해 당사국과의 충분한 협의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국제 사회의 참여로 객관적이고 충분한 검증이 이뤄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대한민국은 일본의 인접 국가라는 이해 당사자이고 이 사안은 대한민국 국민의 건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라고 지적하며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 공개와 협의를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사이타 대사는 발언에서 원전 오염수가 아닌 다핵종(多核種) 제거 설비, 이른바 ‘ALPS’로 알려진 기술로 처리된 물(ALPS treated water)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일본 측은 ALPS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지만 ‘삼중수소’(트리튬)는 걸러내지 못해 물을 섞어 농도를 낮춘 뒤 방출한다는 계획이다. 또 자국의 안전 기준을 강화해 적용한다고 한다.

 

하지만 125만t(톤) 넘는 막대한 양의 오염수가 바다에 흘러들어 많은 논란과 우려를 낳고 있다.

 

오염수 해양방류가 규제위를 통과하면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 완료 시점과 맞물려 오는 2041년에서 2051년쯤까지 수십여년간 오염수가 바다에 흘러들게 된다.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할 경우 한국과 태평양 연안 국가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지난해 10월 독일 킬 대학 헬름흘츠 해양연구소는 후쿠시마 오염수는 200일 만에 제주도에 도착하고 280일 이후에는 동해 앞바다에 도달한다는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를 내놨다. 일본 후쿠시마대학과 가나자와대학도 유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말 기준 후쿠시마 오염수 저장량 109만톤 중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능 기준치를 초과한 오염수가 무려 78만톤(72%)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요 방사능 핵종별로 보면 삼중수소의 경우 평균 농도가 기준치를 10배 초과하고 세슘137의 평균 농도는 기준치 이내였지만 최대값은 기준치의 9배를 넘겼다. 특히 스트론튬은 평균 농도가 기준치를 111배나 초과하고 최대값은 기준치의 무려 1만 4433배에 달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