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 인플레이션 우려… 홍남기 "주택공급 추진" [데스크 모닝 픽]

5월 소비자물가지수 2.6% 상승… 9년 1개월 만에 최고치
“맞춤형 지원한다는 골격 일관성 있게 견지해 나갈 것”
지난 2일 서울 강남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점원이 달걀을 진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와 기름값에 기저효과가 맞물리면서 소비자물가가 9년1개월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플레이션을 경고하는 언론 보도가 쏟아졌다. 

 

3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BIGKINDS)’ 서비스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 2.6% 9년 상승>을 다룬 뉴스는 110건으로 6위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6(2015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 올랐다. 2012년 4월 2.6% 상승 이후 무려 9년 1개월 만에 최고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9년과 2020년 각각 전년 동월 대비 0.4%, 0.5% 상승하는 데 그쳤는데 올해는 상승세가 급격하다. 올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세도 가파르다. 지난 1월 0.6%, 2월 1.1%, 3월 1.5%를 기록한 뒤 4월 2.3%로 2%대로 올라서더니 지난달에는 2% 중후반으로 뛰었다.

 

특히 체감물가라고도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나 크게 뛰었다. 2017년 8월 3.5% 상승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식품류가 4.7%나 크게 뛰었고, 식품이외 물품도 2.5%나 올랐다.

지난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특히 농축수산물은 12.1%나 올랐다. 지난 1월 10.0% 상승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세다. 농산물은 16.6% 상승했고, 축산물은 10.2%, 수산물은 0.5% 올랐다.

 

파는 생육 부진 탓에 전년 동월 대비 130.5% 올랐고, 달걀은 AI 영향으로 공급이 줄며 45.4%나 치솟았다. 사과(60.3%), 마늘(53.0%), 배(52.1%), 고춧가루(35.3%), 상추(22.0%), 오이(21.9%), 고구마(12.2%), 국산쇠고기(9.4%), 돼지고기(6.8%), 닭고기(6.3%) 등도 상승폭이 컸다. 공업제품 물가는 3.1% 올랐다. 2012년 5월 3.5% 상승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석유류도 23.3%나 크게 올랐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국제유가가 급락한 데 따른 기저효과다. 석유류 가격이 뛰면서 공업제품 물가 상승에도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 물가 역시 전년 동월 대비 1.5% 올랐다. 집세는 한 해 전보다 1.3% 오르며 2017년 11월 1.4% 상승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전세는 1.8%, 월세는 0.8%의 상승률을 보였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지난 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월 소비자물가 오름폭이 확대된 것은 기저효과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작년 5월 코로나 충격으로 국제유가 및 석유류 가격이 급락(-18.7%)하며 물가상승률이 연중 최저치인 -0.3%를 기록한 데 따른 반사적인 효과”라고 밝혔다. 한국은행도 “앞서 예상한 올해 물가 흐름에서 벗어나지 않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오늘은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 시선이 쏠릴 전망이다. 

 

홍 부총리는 3일 “일각에서 6월 시행되는 임대차 신고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을 이유로 하반기 주택시장이 또 불안해질 것이라고 일방향적인 기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시장 참여자들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의지는 물론 몇 가지 포인트도 감안해 한 방향으로 쏠림을 각별히 경계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3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서울 아파트 가격은 실질가격 기준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조정을 받기 이전 고점에 근접했다”며 “미국에서는 (중앙은행의)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도 7월부터 차주(대출자) 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적용 대상 확대 및 총량관리 등 가계부채 유동성 관리가 강화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주택 공급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다주택자 및 단기거래자 투기는 억제하며 맞춤형 지원을 한다는 골격을 일관성 있게 견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