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美 ‘물먹는 하마’ 데이터센터 증가에 물부족 심화 우려

재정난 지방정부 앞다퉈 유치
서부 물부족지역에 다수 입지
몇 년간 물사용 놓고 갈등 고조
데이터센터.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와 온라인 게임, 화상 회의 등으로 데이터센터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이 폭증하며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 확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재정난에 처한 미국 지방정부들이 유치에 발 벗고 나섰다. 다만 컴퓨터로 가득 찬 데이터센터가 ‘물 먹는 하마’여서 가뭄으로 이미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이 더 심화할 것이란 우려를 낳는다.

20일(현지시간) NBC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하는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에 약 600곳이 있다. 2015년 대비 2배 늘었다. 절반 이상이 빅테크(거대 정보기술 기업)인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의 것이다.

그중 약 40%는 미국에 집중돼 있다. 그보다 규모가 작은 데이터센터는 최소 1800곳에 달한다. 버지니아공대 분석에 따르면 이들 센터 입지는 지방정부 세제 혜택, 낮은 전기료 등에 따라 결정됐다. 또 태양·풍력 에너지 이용을 위해 서부의 물 부족 지역에 많이 들어서고 있다.

센터 운영엔 냉각이 필수적인데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한다. 물이 전기보다 싸서다. 벤카테시 우다메리 텍사스공대 수자원센터장은 “데이터센터는 보통 하루에 약 300만∼500만갤런(1136만∼1893만L)의 물을 쓴다”며 “이는 인구 3만∼5만명 도시의 사용량과 같다”고 꼬집었다.

이 같은 이유로 최근 몇 년간 미 전역의 지역사회에서 데이터센터의 물 사용을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고 NBC는 전했다. 애리조나주 메사가 대표적이다. 메사 시의회는 지난달 8억달러(약 9100억8000만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설을 승인했다. 센터 운영에는 매일 물 125만갤런이 필요하다. 메사엔 매일 물 400만갤런을 집어삼킬 구글의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이다.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젠 더프 부시장은 “지난 1년간 메사는 126년 만에 가장 건조했다”며 “데이터센터는 사막에서 물을 고갈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기업들도 데이터센터의 물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MS는 수중 데이터센터를 개발했다. 구글은 조지아주 더글러스카운티 센터 냉각에 핀란드 바다와 벨기에 산업용 운하의 물, 미국의 재활용 폐수를 쓰고 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