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가짜 음성' 부작용 논란 자가검사키트 우려 목소리 커져

전문가들, 조용한 전파 위험성 우려 / 정부 "유전자 증폭 진단검사법 보완 수단으론 유효"
3일 오후 서울 강남구 서울로봇고등학교에서 기숙사에 생활하는 학생들이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해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도입 초기부터 '가짜 음성'(위음성) 부작용 문제가 있었던 자가검사키트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정부는 유전자 증폭 진단검사법의 보완 수단으론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자가검사키트 구매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전무한 상황에서 진단검사 전문가들은 물론 방역 당국에서도 조용한 전파 위험성을 우려하고 있다.

 

뉴시스에 따르면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 확진자를 찾아내는 그런 방식이 기본적으로는 PCR(유전자 증폭,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라며 "자가검사키트 같은 경우에는 보완적인 사항"이라고 말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6월 중하순부터 4차 유행이 시작된 이후 의료계에선 자가검사키트 결과 음성이 나온 사람이 실제론 감염된 상태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다가 확진되는 '조용한 전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한층 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4월 품목 허가를 한 자가검사키트는 의사나 전문 인력이 아닌 개인이 검체를 채취하기 때문에 '진단'이 아닌 '검사' 키트로 불린다. 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몸 속에 들어와 생성되는 단백질인 항원을 인식하고 감염됐는지 확인한다.

 

검사 시간이 15~30분으로 짧아 신속 검사로 불리지만 진단검사법인 PCR 검사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 실제 양성인 환자를 얼마나 정확하게 양성으로 찾아냈느냐 하는 민감도(sensitivity)가 낮아 양성 환자를 음성으로 판단하는 '가짜 음성'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13일 장병 6명이 확진된 청해부대에서도 지난 10일 감기 증세를 보이는 인원이 늘어나 실시한 신속항체검사에선 전원 음성이 나온 바 있다.

 

서울시는 콜센터와 물류센터, 기숙학교 등을 대상으로 13억4000만원을 들여 자가검사키트 시범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그 결과 6월15일 기준으로 14만6664건 중 6건이 양성으로 확인됐고 이후 PCR 검사에선 3명이 최종 확진됐다.

 

임상미생물학회 이사장인 김미나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청년의사'와의 인터뷰에서 "RT-PCR 검사로 확진되자 자가검사키트에서는 음성이 나왔다는 사람도 있었다"라며 "5~6월 자가검사키트가 지역 사회에서 사용되는 동안 많은 확진자가 방역망을 벗어나 숨어 있었고 그게 깜깜이 확산에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박영준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15일 "정보 수집과 관리를 하지 않아서 어느 정도 규모에 해당하는지는 말씀드릴 수 없지만 (위음성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라며 "음성이었다가 나중에 진단 검사에서 확진된 사례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라고 말했다.

 

4차 유행과 자가검사키트 사용 증가 사이 연관성에 대해 방대본은 "자가검사키트의 민감도로 인해 위음성자가 나타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진단이 지연되면 추가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사항"이라며 "영향력에 대해서는 현재 상황에서 평가가 어렵다"고 했다.

 

이기일 통제관은 "대전 요양병원에서 확진자 24명이 나온 사례가 있는데 매우 특이하게 병원에 왔던 환자 가족분이 자가검사키트를 확인해 거기에서 양성을 발견했고 PCR 검사를 해보니까 많은 환자가 나온 사례"라며 "자가검사키트는 보완적인 상황에서 지금도 일부 사용됐다"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