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정신질환·비만 늘었다…‘코로나블루, 확찐자’ 통계 입증

15일 오전 서울 송파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코로나19 유행으로 재택 수업이 늘고 고용난이 심화되면서 아동들의 비만율과 청년의 정신질환 진료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9월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진료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6~2020년 5년간 비만 진료자는 88.1% 증가했다.

 

특히 ▲'9세 이하' 232.5% ▲'10대' 145.7%로 아동·청소년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대비 9세 이하 아동의 비만 진료율은 45.3%, 10대 청소년의 비만 진료율은 29.6% 늘어났다.

 

이 의원은 "코로나19로 학업과 미래에 대한 불안이 커진 상황에서 집에 있는 시간까지 늘면서 아동· 청소년들의 심신 건강이 취약해졌다"며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드는 만큼 아이들의 몸과 마음을 위협하는 요소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상담 치료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정신질환은 20대 청년층에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5년간 전체 연령에서 24.2% 증가한 데 비해 20대는 69.1% 상승했다. 남성 53.4%, 여성 84%로 여성 정신질환 진료가 비교적 많았다.

 

복지부가 지난 7월 내놓은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서도 20대의 우울 위험군 비율은 24.3%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자살 생각 비율'도 17.52%로 전체 평균(12.41%)을 웃돌았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대 청년 자살률은 19.2명에서 21.7명으로 12.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청년세대가 겪고 있는 정신적 어려움이 사회·경제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고 진단한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코로나19라는 감염재난 상황에서는 버틸 수 있는 자원이 중요한데 2030 세대는 상대적으로 그러한 요소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대면 상담도 하나의 대책이 될 수 있다. 2030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SNS 등을 통한 비대면 상담 수요가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면 상담 또는 전화 상담이 주를 이룬다"며 "2030을 아우르는 비대면 정신건강 지원서비스도 대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