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쌍둥이도 거꾸로 태어나면 고관절 비정상적 발달 위험”

모든 태아의 둔위 분만, 아이의 고관절에 부정적 영향
“거꾸로 태어난 아이,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검사해야”
신생아의 둔위분만과 두위분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제공.

 

‘둔위 분만’은 아이의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는 데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거꾸로 자리 잡아 태어날 때 머리가 아닌 엉덩이부터 나오는 것을 말한다. 

 

다만 쌍둥이로 불리는 ‘쌍태아’의 경우에도 둔위가 위험요인으로 작용할지 의견이 분분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쌍둥이 여부와 관계없이 태아가 거꾸로 자리 잡은 자세는 고관절의 비정상적 발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박지윤 교수와 정형외과 박문석 교수 연구팀은 총 491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쌍둥이 여부 및 태아의 자세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병 빈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이러한 결론을 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질환은 고관절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로, 태어날 때부터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관절의 모양이 변형되는 질환을 말한다.

 

연구 대상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이 병원에서 임신 23주 이후에 제왕절개로 분만한 신생아다. 거꾸로 자리 잡은 외둥이와 쌍둥이 각각 152명과 204명, 제대로 자리 잡은 쌍둥이 135명이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단태아에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강력한 위험인자인 둔위가 쌍둥이 임신에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폈다.

 

그 결과, 거꾸로 자리 잡은 채 홀로 태어난 신생아의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병 빈도는 12.5%였고, 거꾸로 자리 잡은 채 쌍둥이로 태어난 신생아는 9.8%였다. 제대로 자리 잡은 쌍둥이의 발병 빈도는 0.7%였다.

 

쌍둥이 여부와 관계없이 엄마 뱃속에서 거꾸로 자리 잡았을 때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병 빈도가 높다는 의미다.

 

그동안 일부 연구에서 쌍둥이 등 여러 아이를 임신했을 경우 아이의 몸집이 작아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해왔는데, 쌍둥이 경우에도 거꾸로 자리 잡은 자세가 위험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거꾸로 자리 잡은 채 태어난 아이는 생후 6주께 초음파로 고관절 상태를 점검하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고관절 이상은 정상적인 보행을 방해할 수 있는데, 아직 걷기 이전의 신생아 시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조기 발견이 최선이다.

 

산부인과 박지윤 교수는 “쌍둥이로 태어난 신생아의 체내 자세에 따른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발생 빈도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연구”라며 “최근 쌍둥이 임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따른 신생아 치료 대응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형외과 박문석 교수는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생후 3개월 이전에 진단될 경우 치료 방법이 간단하고 결과도 좋으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며 “둔위로 태어났거나 관련 질환을 앓는 가족이 있다면 적기에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아정형외과학회지’(Journal of Pediatric Orthopaedics)에 게재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