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노광우의시네마트랩] 미국 SF영화 속의 일본과 한국

1990년대 초반에 나온 일부 미국 영화는 기술 공포증과 더불어 일본 공포증을 드러내곤 했다. 특히, 1993년에 나온 영화들인 ‘로보캅3’, ‘디몰리션 맨’, ‘라이징 선’을 보면 일본에 대한 우려가 잘 드러난다. 디스토피아적인 미래에 로보캅은 닌자를 연상시키는 안드로이드와 싸우며, 디몰리션 맨은 지나치게 일본화된 미래에 적응하지 못한다. ‘라이징 선’은 미국에 진출한 일본의 초국적 기업 내에서 생긴 사건의 비밀을 미국 경찰들이 수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문화는 낯설고 위협적인 것으로 그려진다. 이 작품들은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비인간적인, 즉 기계화된 일본 문화가 우세종이 된 미래는 감정과 인간성을 상실한 상황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이렇게 일본을 비인간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은 일단 2차 세계대전 이후 여전히 일본에 대한 경계심이 남아 있었고, 1970년대 이후 일본의 자동차, 가전제품이 미국 시장에 진입함으로써 미국산 제품들이 점점 더 경쟁력을 잃어갔던 상황과 관련이 있다. 1970년대 이전만 해도 미국산 자동차와 가전제품은 전 세계 시장을 석권했지만 1970년대 이후 독일과 일본이 주요한 경쟁 상대로 등장했다. 그리고 정점에 이른 사건이 1989년 일본 전자회사 소니가 컬럼비아 영화사를, 1990년에는 마쓰시타가 유니버설 영화사의 모회사인 MCA를 인수한 사건이었다. 비디오 산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 두 일본 회사가 콘텐츠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주요한 할리우드의 영화 회사 중 두 개를 인수한 것은 당시에는 엄청난 사건이었다.

한편, 할리우드 영화에서 한국은 주로 북한의 이미지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007 다이 어나더 데이’와 ‘팀 아메리카’(2004), ‘레드 던’(2012), ‘디 인터뷰’(2014)가 대표적이다. 최근에 개봉한 ‘마더/안드로이드’(2021)는 약간 달라졌다. 주인공은 안전한 곳으로 한국을 언급하는 등, 한국은 긍정적으로 등장하지만, 영화 말미에서 주인공이 만나는 한국인들은 마치 북한 군인처럼 보인다. 대사와 이미지가 잘 어울리지 않는 이런 연출은 남북한을 구분하지 못하는 무지를 드러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분적인 변화의 조짐을 보여준다. 아직은 멀었지만 앞으로 한류 콘텐츠를 많이 보고 한국을 더 잘 이해하는 세대가 미국 영화계에 진출하면 이런 고정관념은 사라질 것이다.


노광우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