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에서 김만배씨가 이 설계는 시장의 지시 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그런 얘기 한 사람이 윤 후보 보고 ‘내 한마디면 죽는다’고 했다. 윤 후보 부친 집도 관련자들이 사주지 않았나.”(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3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지상파 3사 합동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윤 후보는 이 후보가 성남시장 시절 치적으로 내세웠던 대장동 개발 특혜·로비 의혹을 제기하며 포문을 열었다. 이 후보는 “저는 이익을 본 일이 없다”며 대장동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만배씨의 친누나가 윤 후보 부친 주택을 매입한 사실을 거론하며 반격했다.
윤 후보는 이 후보에게 “성남시장으로 재직할 때 대장동 도시 개발로 김만배씨 등이 3억5000만원을 투자해서 시행수익 배당금으로 6400억원을 챙겼는데, 여기에 관해 지난해 9월에 (이 후보가) ‘내가 설계했다’, ‘다시 하더라도 이렇게 하겠다’고 말씀하셨다”며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 사업에 들어가는 비용과 수익을 정확히 가늠하고 설계한 게 맞냐”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국민 여러분께 국민의힘이 방해하더라도 100% 공공개발을 못 해서 실망 드린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제가 자청한 국감에서 탈탈 털다시피 검증했던 것, 최근 언론 검찰까지 했던 얘기를 다시 하며 시간 낭비하기보단 가능하면 국민, 민생경제 얘기했으면 좋겠다”고 넘겼다. 하지만 윤 후보는 재차 “반시장적 정책도 문제지만 이런 특정인에게 천문학적 특혜를 주는 부분에 대해서 국민들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문제 삼았다. 그러자 이 후보는 “부정부패는 이익을 준 사람이다. 저는 이익을 빼앗았다”며 “저는 이익을 본 일이 없고, 후보님은 부친 집을 관련자들이 사줬다. 그게 이익이 아니냐. 오히려 윤 후보를 책임져야 하지 않나”고 받아쳤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도 대장동 의혹을 파고들었다. 이 후보가 심 후보를 향해 “공공주택 확보에 관심이 많으시다. 저도 똑같다. 국내 공공주택 비율은 5% 정도로 너무 적다”라고 하자, 심 후보는 “공공주택에 관심을 갖고 계신지 몰랐다. 대장동 사업에서 성남시 임대아파트를 한 채도 안 짓지 않았느냐”라고 꼬집었다. 이 후보는 “그건(임대주택은) 중앙정부에서 만드니까 그렇게 (가져다) 붙이지 말라”고 맞섰다. 안 후보는 “대장동 개발이익 환수를 포기하면서 특정 민간인에게 이익을 몰아주는 것은 개발이익완전환수제와 전혀 다른 방향”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바로 그거다. 제도적으로 공공개발을 못 하도록 막아놨고, LH가 하던 공공개발도 포기시켰다”며 “제가 그렇게라도 해서 일부라도 (이익을) 환수하려 한 것”이라고 답했다.
부동산 토론 이후 벌어진 ‘주도권 토론’에서도 대장동 의혹 공방은 이어졌다. 심 후보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김만배씨의 배임 혐의가 유죄로 보나, 무죄로 보나”라고 묻자, 이 후보는 “검찰 기소라니까 혐의가 있겠다. 저는 모르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대장동 개발 이익 100% 환수를 못한 건 국민의힘 탓’이라는 프레임을 들고나온 이 후보를 향해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장동 사업을 기획하고 개발을 진행한 것이 아니지 않으냐”라며 “개발 사업이라는 것은 아파트만 짓는 게 아니라 도로도 만들고 터널도 뚫고 공원을 만든다. 그럼 모든 사업이 다 환수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 후보는 “사업구역 내에 확보한 건 5500억원이 훨씬 넘고, 그것 외에도 추가로 (환수를) 한 게 5800억원이다”라고 주장했다.
윤 후보가 계속해서 관련 의혹 제기를 하며 “왜 질문에 답변을 못하시나”라고 몰아세우자 이 후보는 “특검 뽑는 자리가 아니다”라며 “저축은행 대출비리는 왜 봐줬느냐”고 역공했다.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천문학적 이익을 취한 화천대유의 초기 자금으로 사용된 부산저축은행의 1100억원 상당의 대출금에 대해 당시 수사검사였던 윤 후보가 기소에서 뺀 부분을 거론한 것이다. 이 후보는 “우연히 김만배씨가 윤 후보 아버지 집을 사줬을까. ‘내가 입만 벙긋하면 윤 후보는 죽는다’는 말을 왜 하나. 왜 관계자가 전부 국민의힘 밖에 없나”라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다른 후보들의 공세가 끊이지 않자 “국정감사 때 이미 다 한 얘기”라며 “검증된 것을 다시 말하는 건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