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알레르기 유발 유전학적 원인 국내 연구진 첫 규명

“흉선서 면역글로불린 E 생성…치료제 연구 진전 기대”
알레르기.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알레르기 성향을 결정하는 세포 유전학적 요소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17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유정 서울대 약대 교수 연구팀과 김종경 포항공대(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면역글로불린 E를 만드는 형질 B 세포가 흉선에 존재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알레르기와 기생충에 대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면역글로불린 E의 혈중 수치가 높을수록 알레르기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중 면역글로불린 E 수치는 사람마다 다른데 그동안 개인별 수치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흉선에서 분비된 면역글로불린 E는 장과 피부 조직에 있는 비만 세포의 수를 증가시켰다. 

 

수가 불어난 장 내 비만 세포는 음식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면역글로불린 E와 비만세포의 기원 및 발달 과정을 규명한 첫 연구로, 알레르기 성향을 결정하는 세포 유전학적 요소를 규명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향후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시스 질환 치료제 연구에 중요한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성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도 게재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