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 년의 기억 위에 새로운 백 년의 꿈을 심다.” 자주독립국가 수립을 위해 희생한 선열들의 고귀한 정신을 계승하고 대한민국 건국과 민주공화제 시대 개막을 기념하는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지난 3월1일 개관했다.



지난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 환국일(11월23일)에 개관할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지연돼 제103주년 3·1절에 개관한 기념관은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옛 서대문구의회 자리에 연면적 9703㎡ 규모의 지상 4층, 지하 3층 건물로 건립됐다. 일제강점기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투옥돼 고문을 당했던 서대문형무소가 바로 앞에 보이는 자리다. 3개의 상설전시실과 1개의 특별전시실에 1919년 3·1운동부터 현재까지 임시정부와 관련한 1000여점의 자료가 전시돼 있으며, 편의시설로 상징광장·기념품판매점·전망대 등이 있다.



3개의 상설전시실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된 3·1운동부터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자료가 전시돼 있다.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라는 주제의 상설1관에선 대한제국이 무너진 뒤 나라를 되찾기 위해 전개했던 독립운동과 민주공화제 정부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사람들’이라는 주제의 상설2관에선 광복 후 최초의 국회인 임시의정원의 활동상 등을 전시한다. 또한 이곳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도운 국내외 인사들, 자주독립을 위해 연합군과 함께 태평양전쟁에 참전했던 광복군 관련 자료들로 채워져 있다. ‘임시정부에서 정부로’의 주제를 담은 상설3관에는 대한민국 건국강령, 임시정부 요인들의 환국, 임시정부 개선 환영대회 등과 관련한 자료가 전시돼 있다.



오는 6월까지 운영되는 ‘환국, 대한민국임시정부 돌아오다’라는 주제의 특별전시관에는 독립을 보장받기 위한 외교전략, 자주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군사작전, 광복을 맞이한 임시정부 사람들과 개선 환영대회,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행사 등 자료가 풍성하다. 기념관 1층 옥외광장에선 ‘역사의 파도’라는 주제의 상징벽 작품을 통해 임시정부의 독립염원과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역동성을 느낄 수 있다.



기념관 관계자는 “영상과 소리를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갖춰 이곳을 찾는 시민들이 대한민국 건국 과정, 임시정부의 의미와 역사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