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정부 “코로나 정점 예상보다 낮아. 위중증·사망자 수 감소세”

4일부터 새로운 거리두기 2주 시행 후 해제 전망도 언급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한 가운데 정부는 위중증 및 사망자 수도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4일 브리핑을 통해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31일 1315명이 최대치였던 것 같다”면서 “위중증 환자는 크게 증가하는 현상 없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도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 규모가 금주 또는 다음주부터 꺾이기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손 반장은 “위중증 환자, 사망 환자도 금주 또는 다음 주가 정점 구간일 것으로 본다. 당초 걱정했던 것만큼 그렇게 아주 급증하는 현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지난달 18일 기준 1주 하루 평균 40만5000명 수준에서 정점을 찍은 후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날 기준 1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는 약 28만5000명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당초 위중증 환자가 1300∼1800명 수준에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본 바 있다. 하지만 손 반장은 “아마 조금 낮은 축에서 정점을 형성하면서 꺾일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사망자 수 관련해선 “다소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제 감소하기 시작하는 패턴으로 갈 것 같다”고 봤다.

 

손 반장은 “전문가들은 사망자가 600∼700명, 800명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그렇게 증가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3월24·25일쯤 주간 평균 359명이 정점이었을 것 같은데,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의료대응 상황 관련해서도 “중증 병상 가동률 67.3%, 중등증 병상 가동률은 41.5%로 여유가 있다”면서 “이대로면 큰 과부하 없이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앞서 정부는 이날부터 2주간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끝으로 ‘해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는 향후 2주간 사적모임 인원을 10명으로, 영업시간 제한을 밤 12시로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2주 후 상황이 안정될 경우 ‘실내 마스크 착용’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한을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손 반장은 아직도 수십만명대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 속 거리두기 완화 검토에 관해 “오미크론 자체가 델타보다 전파력이 2∼3배 강해서 거리두기 자체의 효과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초 모델(21시·4인)에서 풀었을 때 델타 때는 2배 이상 급증한다는 결과가 나오는데, 오미크론은 10% 내외 정도의 영향이 있다고 한다. 치명률은 상당히 낮아서 거리두기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인 BA.2(일명 스텔스 오미크론)이 국내 우세종이 되면서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 해외에선 이미 BA.2 유행으로 제2의 정점이 형성되며 ‘쌍봉형’ 그래프가 나오기도 했다.

 

손 반장은 ‘2차 정점’ 가능성에 관해 “외국에서는 BA.1(기존 오미크론) 유행이 크게 한 번 끝난 이후 BA.2 우세화로 새로운 유행이 시작해 두 번의 유행 정점을 형성했지만, 우리나라는 BA.1와 BA.2가 순차적으로 가고 있다”라며 섣부른 예측을 자제했다.

 

이어 “BA.2가 BA.1을 대체하면서 전체 유행을 길게 하는 측면이 나타날 것 같은데, ‘쌍봉형’일지는 추이를 더 지켜봐야 안다. BA.2가 50% 이상 점유하고 있는데 확진자 발생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서 이중 유행 정점을 형성하는 패턴은 아닐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2만7175명으로 41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손 반장은 ‘주말 검사량 감소 효과’에 따른 현상이라면서 “하루 확진자 수에 너무 의미를 크게 부여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추세를 봐야 한다. 수요일부터 다시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오늘 수치를 절대시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