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미세 플라스틱, 살아있는 사람 폐·혈액서도 검출

英·네덜란드·오스트리아 등 연구팀 연구 통해 밝혀져
산 사람 폐에서 첫 검출…폐 하부에서 더 많이 나와
건강한 성인 혈액 속에서도 미세플라스틱 최초 확인
1인당 일주일에 5g 플라스틱, 위장관 통해 유입 확인
게티이미지뱅크

 

의도적으로 제조됐거나 또는 기존 제품이 조각나서 미세화된 크기의 5mm 이하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인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최근 다양한 곳에서 검출되면서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 알려지는 등 환경 관련 문제에서 적잖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미세플라스틱이 살아있는 사람의 폐 깊숙한 곳에 박혀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장 많이 나온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헐요크 의대 연구팀은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폐기종 환자에게 자신의 장기 중 일부를 떼어준 13명 중 11명에게서 폐 조직 1g당 평균 1.42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주요 성분은 플라스틱 포장이나 파이프 등에 많이 쓰이는 PP와 페트병에 사용되는 성분인 PET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였다. 이러한 입자는 폐 상부나 중간부보다 하부에서 더 많이 발견됐다.

 

숨진 사람을 부검한 폐 조직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된 적은 있지만, 산 사람의 폐에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논문의 저자인 로라 새도프스키 헐요크의대 수석연구원은 “폐 하부 기도는 매우 좁아서 아무리 작은 입자라도 여기 도달하기 전 걸러지거나 포집될 것이라 예상했다”라고 밝혔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에는 건강한 성인의 혈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최초 확인된 바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난달 24일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22명의 혈액 표본을 분석한 결과 약 80%인 17개 표본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바 있다. 

 

성분은 PET가 절반 이상의 표본에서 발견됐고, 표본의 3분의 1 이상에서는 PS, 4분의 1에서는 포장용 랩에 주로 쓰이는 폴리에틸렌(PE)이 발견됐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혈액을 타고 신체 내부를 돌아다니거나 특정 장기에 머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이다. 

 

딕 펫하크 암스테르담자유대 교수는 “선행 연구에선 어른보다 아기의 배설물에 미세플라스틱이 더 많고, 플라스틱병으로 우유를 먹인 아기는 하루 수백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또한 오스트리아 빈 의대는 1인당 일주일에 5g의 플라스틱이 위와 창자 등 소화계통 기관을 통해 유입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신용카드 한 장 무게와 맞먹는 양이다.

 

실험 결과, 이렇게 들어온 1㎛(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플라스틱은 장내 미생물 집단(마이크로바이옴) 구성에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당뇨병 등 대사질환 발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일정 이상 흡수될 경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를 가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 보고서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 크기가 150㎛ 이하이면 소화관 내벽을 통과할 수 있고, 0.2㎛ 이하이면 체내 조직으로 흡수돼 국부적 면역체계 이상, 장 염증 등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특히 0.1㎛ 미만이면 위장관 림프 조직을 통해 간, 비장, 심장, 폐, 흉선, 생식기관, 신장, 뇌로 이동할 수 있고 혈액뇌장벽은 물론 태반 장벽도 뚫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현재로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한국인이 음식을 통해 날마다 16.3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지만, 이 정도는 건강상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지 않으면 결국 인간에게 노출되는 빈도가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관련된 대책이 시급하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