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김상배 장애인지원단 대표 “대전에서 장애인의 지속 가능한 삶의 기반 마련할 터”

대전 대덕구 대화동 대전산업단지에 있는 (사)대전문화체육교육협회 장애인자립지원단에 근무하는 중증장애인들이 고지서 발송 작업을 하고 있다. 장애인자립지원단 제공

“대전에 왜 오셨어요?”

 

김상배(56) (사)대전문화체육교육협회 장애인자립지원단 대표가 대전에 온 후 항상 듣는 말이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중증장애인 업체를 운영하던 김 대표가 대전에 내려온 건 지난 해 8월. 모두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향하는 관성(?)을 거스른 김 대표를 보며 사람들은 고개를 갸웃한다. 

 

김 대표는 “나름 출혈과 부담이 있었지만 장애인들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자립 기반 마련과 비전을 보면 대전 이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2019년 8월 설립한 장애인자립지원단은 각종 인쇄와 전산출력(DM) 발송을 전문으로 하는 중증장애인 생산업체다. 장애인들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고용 창출과 일자리 확대로 자립의 기반을 제공하는 비영리단체이자 사회적기업이다. 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청, 적십자 등 국가·공공기관 인쇄 일을 맡고 있다. 체계화된 시스템과 설비 등을 바탕으로 대전 대화동 산업단지로 이전한 지 1년 만에 기반을 잡아가고 있다.

 

장애인 업체는 통상적으로 공공기관과 수의계약을 맺어 일을 수주한다. 정부에선 중증장애인 생산시설에서 생산되는 물품의 의무구매 비율을 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관들의 장애인 업체 구매 비율은 전체 예산의 1%에 불과한 형편이다. 이마저도 이 비율을 채우는 공공기관은 찾기 어렵다.

 

대전시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 실적은 2020년 기준, 대덕구(1.68%)를 제외한 대전시와 4개 자치구는 모두 1%의 구매 기준을 달성하지 못했다. 

 

김 대표는 이같은 성적이 지역 이전에 속도를 내게 된 배경이라고도 했다. 

 

지역 중증장애인의 사회적 재활을 위한 마중물 역할의 필요성을 느껴서였다. 

 

김 대표는 “정부대전청사나 세종 부처 등 업무의 원활한 수행이 이전을 고민하게 한 요인이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지역 중증장애인들의 사회적 재활을 지원해 사회 일원으로 제 몫을 할 수 있게 하고 싶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장애인들의 업무 역량 등을 과소평가하는 사회적 편견을 깨는 게 현재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가 중증장애인 생산시설과 창업기업을 비롯해 사회적기업, 중증장애인 표준사업장, 산업디자인 전문회사, 정보 보안 인증 등 정부 공인 인증 6개를 획득한 것은 고질적 편견에 맞서는 명함이다.  

 

아쉬운 것은 지역의 부족한 관심이다. 

 

김 대표는 “소규모의 중증장애인 생산시설이지만 업체 역량은 수도권보다 뛰어나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지역에서 지원이 거의 없는 건 안타까운 일”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김 대표는 현재 26명인 장애인 직원을 100명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소박하면서도 원대하다. 세종에 별도 지점을 개설하고, 출판 등 다양한 사업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이미 세웠다.

 

“‘함께 걸음’은 누군가는 꼭 해야 하는 일입니다. 사람의 신체조건을 따지지 않고 일하는 보람을 함께 나누고, 지키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면 한 모두가 잘 사는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길은 멀지 않습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