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공공자전거 5만 시대, '시민만족도 1위'에도 확산은 더뎌 [S스토리]

[자전거·보행자 중심… ‘녹색교통’ 활용 높이자]

‘따릉이’ 이용 1억건… 시민 만족도 97%
적자 운영·인프라 미흡 ‘애물단지’ 시각도
“단순 비용 아닌 교통복지차원으로 봐야”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뉴시스

지방자치단체들은 도시 곳곳에 자전거를 비치해 시민들에게 저렴하게 빌려주는 공공자전거를 운영하고 있다. 길을 돌아가 자전거를 반납하지 않아도 되고, 1시간에 500∼1000원 정도로 이용료가 싸다는 장점 등에 힘 입어 시민들의 꾸준한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여러 지역에서 공공자전거가 ‘정책만족도 1위’를 기록하는 것에 비해 확산 속도는 더딘 편이다. 공공서비스 성격임에도 일각에서 꾸준히 제기하는 ‘적자 논란’, 전반적인 자전거 인프라·문화 확산 등이 따라주지 않는 점 등이 장애물로 분석된다.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에 운영 중인 공공자전거는 약 5만5000대다. 이 중 4만여대가 2015년 정식 도입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로 가장 운영 대수가 많다. 따릉이는 이용료는 1시간 기준으로 1일 1000원, 7일 3000원, 1년 3만원이다. 지난 25일 누적 이용 1억건을 돌파한 따릉이는 지난해 시민 만족도 조사에서 96.9%를 기록해 공유정책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한때 ‘1년 100억 적자’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민간이 할 수 없는 교통복지 차원에서 바라보고, 단순 비용이 아닌 사회 전체적인 효과를 총비용으로 비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교통연구원 정영옥 박사는 “따릉이는 예상보다 훨씬 성공적으로 확장한 사례로 이용 규모를 고려하면 건당 400원 정도가 지원된 것”이라며 “버스, 자동차 지원 규모와 비교도 안 되는 수준인 데다 다른 대중교통에는 적자란 표현을 쓰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 공공자전거인 창원시 ‘누비자’는 프랑스 파리 공공자전거 ‘밸리브’를 벤치마킹해 2008년 운영을 시작했다. 지난해 말까지 누적 사용자가 73만8740명에 이른다. 녹색 교통수단으로서 전국적인 공공자전거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랜 역사를 가진 만큼 파손 및 노후화는 해결 과제다. 현재 도입된 자전거 9996대 중 5748대가 이용이 힘든 정도다. 최근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보급이 늘면서 누비자 이용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도 하다.

 

도입 10년이 된 대전시 공공자전거 ‘타슈’는 올해부터 1시간 이내로는 무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 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 1월부터 3월까지 13만8432건을 기록해 전년 대비 62% 성장했다. 1시간 이후 30분 초과 시마다 500원씩만 더 내면 된다. 대전시는 오는 6월까지 2세대 타슈 2500대를 추가 도입해 모두 4805대를 운영하고, 대여소도 1000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타슈를 시내버스, 지하철과 연계한 ‘공공교통’으로 운영한다는 방침도 확립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자전거, 버스, 지하철 간 환승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공공자전거가 근거리 생활형 교통수단이자 공공교통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시 공유자전거 ‘타조’

지난해 5월 공공자전거 ‘피프틴’ 운영을 철수하고 민간사업자가 맡아 시작한 경기 고양시의 ‘타조(TAZO)’는 운영 1년 만에 이용자 수 5만명을 돌파했다. 도입과 함께 매달 이용자 수가 증가한 타조의 호조세는 시의 직접 예산 지원 없이 민·관이 협업하는 사례로서 주목된다. 고양시는 타조의 인프라와 행정 지원을 맡고, 사업 운영은 100% 민간사업자(KT, 옴니시스템)가 담당한다. 다만 민간이 운영할 경우 수익성 문제 등으로 사업이 지속가능할 것이냐는 우려는 계속될 전망이다.

 

경기 안산시의 ‘페달로’는 도입 10년 만에 애물단지로 전락한 뒤 올해부터 운영을 중단한 사례다. 안산도시공사에 따르면 페달로는 무단 사용 후 아무 곳에나 방치된 경우가 2020년 기준 5276건에 달하고, 노후화에 따른 연간 수리비만 3억원이 투입됐다. 적자가 지속돼 시가 운영 포기를 선언하자 시민들은 “안산시의 행정이 따릉이를 운영하는 서울시와 너무 비교된다”며 “공익 사업이라면 어느 정도 적자를 감수하며 운영해야 하지 않느냐”고 반발했다. 나정숙 안산시의회 의원은 “안산시의 자전거 친화도시 정책과 공공자전거 폐지 결정 등은 모순된다”고 지난 1월 시의회에서 지적했다.

 

현재 지자체별로 추진 중인 공공자전거를 중앙 정부 차원에서 보다 일관성 있게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앞서 2010년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자전거정책추진계획’에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공공자전거 표준운영시스템 개발·보급을 주요 과제로 포함한 바 있다. 지자체별 중복 구축에 따른 비효율성을 사전에 제거하고, 지역별 공공자전거 간 호환성을 확보해 국민들이 어디서나 편리하게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이 같은 공공자전거 표준모델은 지난 10여년 동안 개발되지 못했다.


정지혜 기자, 전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