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한·미가 문재인 전 대통령을 대북특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문 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친서 등으로 퇴임 후 대북특사 가능성이 언급된 바 있어 그의 역할론이 다시 주목받는 분위기다.
◆文·바이든 “쓸모가 있으니까 만나는 것”
정 전 장관은 16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문재인 대북특사’ 가능성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한·미 정상회담을 끝내고 일본으로 떠나기 전에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나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 바쁜 바이든 대통령이 여기까지 와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나는 것은 옛날에 한두 번 만난 적 있는, 그 우정으로 만나는 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치인은 그렇게 안 움직인다”며 “쓸모가 있으니까 만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전 장관은 김 위원장과 특별한 관계에 있는 사람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을 지목했다. 그는 “바이든이 트럼프를 특사로 보낼 수 없으니 문 전 대통령을 특사로 고려하고 있다”며 “카터 대통령도 1994년에 북한에 간 적 있고 클린턴 대통령도 (2009년 8월 4일) 북한으로 가서 억류돼 있는 사람을 데리고 나온 적이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진행자가 “문재인 전 대통령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인데 윤석열 대통령이 좀 꺼리지 않을까”라고 묻자 정 전 장관은 “기분은 안 좋겠지만 문 대통령이 움직여서 한반도 상황이 빠른 속도로 좋아지고 핵 문제 해결의 수순을 밟을 수 있게 된다면 (윤 대통령이) 이를 자기 업적으로 삼을 수 있다”라고 해석했다. 또 “(권영세 통일부 장관의 인사청문회에서 ‘대북특사로 문 전 대통령을 검토하라’는) 태영호 의원 질문에 (권 장관이 ‘검토할 수 있다’라고) 그렇게 쉽게 답하는 것을 보고 사전에 이미 교감이 있었구나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윤 대통령과 바이든 사이에서 ‘문재인 카드’가 공감대를 형성한 것 같다고 봤다.
◆퇴임 전 “마음 함께하겠다” 언급했던 文
앞서 문 전 대통령은 퇴임 전인 지난달 20일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함께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이와 함께 친서에 “남북이 만들어낸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 9·19 군사합의가 통일의 밑거름이 돼야 한다”며 “남북의 노력이 한반도 평화의 귀중한 동력으로 되살아날 것을 언제나 믿고 기다리겠다. 이제 평범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지만, 언제 어디에서든 한반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함께 하겠다”고 적기도 했다.
이를 두고 문 전 대통령이 퇴임 후 “잊혀진 사람이 되고 싶다”, “현실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언급을 되풀이했던 것과 비교해 남북관계 문제에 있어서는 조금 더 활동의 여지를 두는 듯한 뉘앙스를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상황에 따라 문 전 대통령이 대북특사 등의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이어졌다. 대북특사 등 공식적 역할을 맡지 않더라도 윤석열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와 관련해 계속해서 메시지를 내며 ‘조언자’를 자처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2월 연합뉴스 및 세계 7대 통신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퇴임 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해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처럼 방북 특사와 같은 역할을 요청받으면 수용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그때 가서 판단할 문제”라고 말해 여운을 남긴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