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英전문가 “韓코로나19 대응 모델, 합리적·효과적” 분석

팬데믹 총평 담은 신간…“봉쇄보다 검사·추적·격리 통해 선방”
지난 4월 19일 서울 송파구보건소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사 받으러 온 시민들을 안내하고 있다. 뉴스1

 

세계보건기구(WHO)와 영국 정부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책 자문을 해온 한 전문가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모델에 대해 효과적이었다고 총평했다.

 

그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모델이 ‘봉쇄’보다는 ‘검사’에 기반을 둬 합리적이고 효과적이었다고 분석했다.

 

26일(현지시간) 외교전문 매체 ‘포린폴리시’에 따르면 데비 스리다르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공중보건학 석좌교수는 신간 ‘예방가능:팬데믹은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다음 팬데믹은 어떻게 막을 것인가’(Preventable: How a Pandemic Changed the World & How to Stop the Next One)라는 책에서 이 같이 밝혔다.

 

스리다르 교수는 해당 저서에서 세계 주요국의 코로나19 대응 방식을 분석했다.

 

그는 한국이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을 겪으면서 신종 감염병에 대한 계획을 수립했으며, 코로나19가 유입된 후에는 국가적 봉쇄에 의존하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도입에도 학교 문을 대부분 열었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국 대응의 핵심은 검사·추적·격리시스템이었다. 한국은 2020년 3월까지 24시간 이내에 검사 결과가 나오는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았다”며 “대조적으로 그 기간 영국에서는 병원에서만 검사를 제공했다”고 비교했다. 

 

한국은 확진자가 나오면 공중보건팀이 확진자의 전화. 신용카드. CCTV 자료를 이용해 직전 일주일 치의 활동을 확인했고, 확진자에게 자가격리를 요청했으며, 입원 필요성이 있는지 증상을 지속해서 관찰했다고 설명했다.

 

스리다르 교수는 이 같은 감시 시스템이 낮은 사망률에 기여했다고 분석하면서 “한국 모델이 상당히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스리다르 교수는 한국과 같은 검사, 추적, 격리 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형 모델에는 다른 요소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수집한 국민의 개인 정보를 다른 목적으로 잘못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바로 그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