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위성영상 보안 규제 15년 만에 푼다

해상도 기준 4m서 1.5m로 완화
총리실, 정보보호 관련 규제 손질

정부가 15년 만에 위성영상 보안규제를 풀기로 했다. 해상도 4m급 이하만 배포할 수 있었던 위성영상 정보가 1.5m급으로 완화된다. 그동안의 위성영상 정보가 자동차의 ‘형체’ 정도만 겨우 구별이 가능한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자동차 유형 식별까지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무조정실은 18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도 개선 △정보보호 제품 보안 인증제도 개선 △무선 영상전송장비 시험인증 기준 마련 등의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보안시설이 포함되지 않은 영상정보의 온라인 배포도 허용할 방침이다.

이날 개선이 결정된 규제들은 한 총리가 지난 6월17일 투자박람회 ‘넥스트라이즈 2022’에서 벤처·스타트업과 함께한 간담회 때 나온 건의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 기업들은 ‘위성 고해상도 영상은 보안 처리를 하고 배포·판매하도록 돼 있는 규제를 완화해달라’고 한 총리에게 건의했다. 위성영상 보안규제는 2007년 아리랑 2호 발사를 계기로 6m에서 4m로 완화된 이후 15년간 묶여 있었다. 간담회 직후 한 총리가 “국가정보원을 포함한 관계부처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한 규제는 직접 챙기겠다”며 장관급 회의를 즉각 개최하라고 지시했다고 국조실은 전했다.


김현우 기자 wit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