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원/달러 환율 급등을 막기 위해 외환 당국이 달러화를 시중에 풀면서(매도) 외환보유액이 한 달 사이 200억달러 가까이 급감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8위 규모로 충분한 수준인 만큼, 외환 위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한은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67억7000만달러로, 8월 말(4364억3000만달러)보다 196억6000만달러나 줄었다. 금융위기 당시 2008년 10월(274억달러)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오금화 한은 국제국장은 외환보유액 감소 배경에 대해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달러화 평가 절상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감소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달 원/달러 상승 폭 등을 고려할 때 환율 방어가 성공적이었나”라는 질문에 “우리가 특정 환율을 타깃(목표)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국내 외환시장에 수급 불균형이 있는 경우, 시장 기대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개입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외환 시장이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794억1000만달러)이 한 달 전보다 155억3000만달러 감소했다. 예치금(141억9000만달러)과 특별인출권(SDR·141억5000만달러),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42억3000만달러)도 각 37억1000만달러, 3억1000만달러, 1억달러 줄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한은은 통상적으로 월별 외환보유액 통계를 발표하면서 별도 언론 브리핑(설명회)을 하지 않지만, 이번 9월 통계의 경우 이례적으로 오 국장 등이 직접 기자들의 질문에 답했다.
외환보유액 감소 폭이 금융위기 이후 최대 수준에 이르면서, ‘외환위기’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와 논란을 적극적으로 진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오 국장은 “저희(한국은행) 생각으로 현재 외환보유액은 충분하다”며 “세계 외환보유액 순위에서 우리나라가 9위에서 8위로 올랐고, 외환당국의 외환보유액 뿐 아니라 2014년부터 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으로서 국내총생산(GDP)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낮은 단기외채 비율도 고려해야 하고, 지난달 말 신용평가기관 피치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같은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해 건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오 국장은 "외환위기 당시(2008년 3월∼11월) 외환보유액이 월평균 70억∼80억달러씩 감소했는데, 최근(2021년 10월∼2022년 9월) 감소 폭은 월평균 47억7천만달러로 외환위기 당시보다 작다"며 "외환위기라는 표현은 현재 우리나라 경제를 묘사하는데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