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교황청 장관 유흥식 추기경 "이태원 참사 일어나선 안 될 일"

“영화 ‘두 교황’처럼 서로 다르지만 조화하고 존중하는 법 배워야”
“프란치스코 교황이 나를 발탁한 것처럼 쇄신책은 인적 쇄신이 중요”
“우리 국민들 대단, 강점 계속 살리는 동시에 좀더 정직하고 투명해졌으면”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유흥식(71) 라자로 추기경은 서울 이태원에서 발생한 ‘10·29 참사’와 관련해, “우리(국민들)에겐 매우 큰 슬픔이고 일어나선 안 될 일이 일어났다”며 “몇 명이라도 자기 임무에 충실하고 모든 것을 바쳤다면 벌어지지 않았을 일이라 안타깝다. 국가도 그렇고, (우리 모두) 자신들을 돌아보는 기회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휴가를 맞아 1년 4개월 만인 지난달 30일 귀국한 유 추기경은 2일 서울 광진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하기 전 10·29 참사 희생자에게 애도의 뜻을 표하며 이렇게 당부했다.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일 기자회견하는 모습.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제공

앞서 대전교구장을 역임하던 2021년 6월11일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에 임명된 그는 지난 8월27일 추기경에 서임됐다. 교황청 성직자부는 전 세계 모든 성직자와 신학생들을 관장하는 부서다.

 

유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으로부터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직을 제안받고서 9일간 고민했다고 전하며 “9일간 숙고 끝에 다시 교황님을 찾아뵙고 제게 무엇을 원하시느냐고 되물었더니 교황님께서는 ‘십자가’라고 답하셨다”고 말했다. 또 “교황청에 부임하니까 많은 분이 ‘잘 왔다. 올 사람이 왔다’라고 하더라. 아시아인이 교황청 장관이 됐다는 것 자체가 교황청이 로마나 유럽에 머물지 않고 세계교회로 거듭났음을 증명했다고 생각한다”며 “교황청(세계교회)과 한국 교회(지역교회)가 상호보완 역할을 하는 데 가교 역할도 잘 하겠다”고 다짐했다.

 

유 추기경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북 가능성과 관련, “교황님께서 지난 8월 KBS 인터뷰를 통해 ‘같은 형제인 남과 북을 위해 언제든 갈 수 있다. 형제들이 같이 살도록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고 싶다’고 하셨으니 모든 건 북한에게 달려 있다”면서도 “지금까진 북한이 무대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분명한 건 교황님은 핵무기를 포함해 모든 무기 만드는 것 반대하신다”며 “나라마다 무기 만드는 것 1년만 멈춰도 전 세계 기아가 해결된다고 강조하신다”고 덧붙였다.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일 기자회견하는 모습.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제공

유 추기경은 국내에서 연극으로도 공연된 넷플릭스 영화 ‘두 교황’을 봤다고 한 뒤, 영화 속 전·현 교황들의 모습이 상당히 비슷하게 그려졌음을 내비쳤다. 그는 “(영화에서처럼 베네딕토 전 교황과 프란치스코 교황) 두 분의 모습이 정말 다르다”면서도 “마지막까지 다르지만 두 분이 어떻게 조화하고 서로를 존중하는지가 나오는데, 우리도 거기서 배워야 한다”고 했다.

 

그는 곧 86세 생일을 맞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건강에 대해 비교적 괜찮다고 전하면서 “교황님의 많은 쇄신책이 정착되가고 있는 만큼 오래 사시라고 개인적으로 기도한다”고 했다. 외부에 귀감이 될 만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대표적인 쇄신책을 묻는 질문에 그는 “극동 아시아에 있는 대전의 시골 사람을 장관으로 만든 게 단적인 쇄신”이라며 “쇄신은 문장과 규약으로 그냥 되는 게 아니라 곧 사람이 하는 일인 만큼 인적 쇄신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황이 장관직을 제안했을 때) ‘여러 언어를 하지도 못하고 부족한 게 많아서 어렵겠다’고 말씀드리니 교황님은 ‘그런 건 중요하지 않다. 주교님은 사람들과 관계를 좋게 맺으니 그런 것으로 교황청 분위기를 바꿨으면 좋겠다’고 하셨다”며 “그렇게 새로운 사람들을 통해 교황청 쇄신을 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이 2일 기자회견하는 모습.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제공

유 추기경은 국민들에게 당부의 말도 잊지 않았다. “한국 사람은 보통 국민이 아닙니다. (교황이 한국인을 높게 평가하는 것처럼) 고통스러운 6·25 전쟁을 겪고서도 다른 나라와 달리 모든 어려움 이겨내고 시련을 극복했잖아요. 또 웃을 줄 알고 여건되면 이웃을 도와주는 데도 적극적인 국민입니다. 그런 (강점을) 계속 살려나가는 동시에 좀더 정직하고 투명해졌으면, 받는 것보다 베풀고 나눠주는 것의 기쁨을 알았으면 합니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