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고물가 하반기까지, 금리 추가 인상에 내수 위축…주요 기관 “내년 韓 경기 둔화 명확”

내년 경제 악재 수두룩…고물가·고금리 더해 세계 경기 침체로 수출 감소·무역수지 적자 폭 상승 우려
시민들이 지난 15일 오후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 ‘1차 국정과제 점검회의’ 생중계 방송의 국민 패널 질의에 대한 추경호 경제 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의 답변 장면을 시청하고 있다. 뉴시스

 

주요 전망 기관들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대로 예고하면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고물가 기조는 내년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고금리로 인한 내수 위축은 물론 전 세계 경기 침체로 수출실적도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대내외 악재가 겹쳐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 거시경제 조사기구’(AMRO·암로)는 올해 연례회의 결과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1.9%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8%), 한국개발연구원(KDI, 1.8%), 산업연구원(1.9%), 피치(1.9%) 등 주요 기관들에 이어 AMRO도 내년 성장률을 1%대 후반으로 예상한 것이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지난 14일 발표한 '2022년 아시아 경제전망 보충'에서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을 1.5%로 전망하기도 했다.

 

정부도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에서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내수 회복 속도가 점차 완만해지고 수출 및 경제 심리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차 국정과제 점검회의'에서 "내년에는 우리 경제가 더 안 좋아질 것 같다"며 "우리 경제는 세계적인 복합 경제 위기에서도 3분기까지 3% 성장하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적을 거뒀지만 최근 선진국을 비롯해 경기가 하강하고 있어 우리 경제도 예외일 수 없다"고 진단했다.

 

전 세계적 고물가 기조와 고금리로 인한 내수 위축,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미다. 물가 안정세는 내년 하반기 이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무역수지 적자 폭이 커지고 있는 점도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실제 올해 역대 최고 수출액을 이미 달성했지만, 에너지 수입이 증가하면서 무역수지 적자 폭은 커지고 있다. 올해 1~11월까지 무역 적자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723억 달러 증가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러·우크라 전쟁 향방 등 세계 경제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완화가 경기 회복을 이끌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었지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 부담 확대가 내수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 부채는 2017년 1451조원 규모에서 2021년 1863조원으로 무려 412조원이나 증가했다. 올해 3분기까지 1871조원으로 계속 상승 중이다.

 

안동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금리 인상과 연동되어 우리나라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라며 "금리가 올라가면 소비 여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고, 자본조달을 위한 비용이 올라가게 되면 기업들도 투자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 경기 둔화 전망은 명확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글로벌 경기가 어느 정도까지 둔화될 것인지 그 민감도 차이에 따라 성장률 전망은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경기침체가 장기화 국면으로 들어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우리 경제가 어려워질 수 있지만 다른 선진국보다 나은 경제 상황을 유지하는 게 목표이고 그것이 가능 할 것 같다"며 "내년에는 실물 경제가 어려움을 겪겠지만 금융시장은 하반기로 가면서 안정되는 그림이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