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스마트폰 출하량이 최근 10년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카날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2021년보다 11% 감소하면서 10년 만에 처음으로 1억2000만대 이하로 떨어졌다.

카날리스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유통망에서 새로운 스마트폰 재고를 인수하는 데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제조사별로 삼성전자가 시장 점유율 22%로 1위를 지켰다. 애플은 19%로 2위를 차지했고, 중국 제조사들인 샤오미(13%), 오포(9%), 비보(9%)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4분기 스마트폰 출하량도 17% 감소하면서 10년 새 최저치였다.
카날리스는 공급 문제가 해소되고, 휴대전화 수요가 증가한 2021년 4분기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했는데, 제조사별로 애플이 시장 점유율 25%로 1위를 기록했다. 애플은 신형 아이폰 시리즈를 9월에 출시, 4분기 시장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분석이다. 카날리스는 애플 아이폰 14 시리즈의 판매 부진과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의 중국 정저우 공장 코로나 봉쇄 등에도 점유율이 2%포인트 올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20%)도 전년 동기 대비 점유율이 1%포인트 상승했다. 샤오미(11%),오포(10%), 비보(8%)가 뒤를 이었다. 샤오미는 지난해 인도 시장에서 고전하면서 점유율이 2%포인트 감소했다.
카날리스는 올해 스마트폰 시장이 현상 유지를 하거나 미미한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레 쑤언 츄 카날리스 애널리스트는 “인플레이션 압박은 줄어들겠지만,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점점 어려워지는 노동시장이 스마트폰 시장 성장을 방해할 것”이라며 “하반기 동남아시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성장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제조사들은 비용을 절감하면서 수익성을 키우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