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평양문화어보호법을 채택하는 등 북한 내부 통제 강화에 나섰다.
북한은 지난 17, 18일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 14기 제8차회의를 열어 평양문화어보호법을 채택했다고 19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밝혔다. 최고인민회의는 우리 정기국회에 해당한다.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지난해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정한 새해 기조를 법, 제도적으로 뒷받침한다.
회의에서 강윤석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은 평양문화어보호법 채택과 관련한 보고에서 “평양문화어를 보호하며 적극 살려나가는 것은 사회주의 민족문화 발전의 합법칙적 요구”라며 “언어생활에서 주체를 철저히 세우는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는 북한에서 표준어인 평양말 외에 남한말 등 외래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법령으로 공식 통제하겠다는 뜻이다. 소통 문화인 말까지 강력하게 통제하고 나선 것은 북한 사회에서 남한식 말투가 광범위하게 퍼졌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남한식 말투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일부일 뿐, 남한말을 배우게 되는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남한의 생활상, 사회상까지 광범위하게 보여지고 전파되고 있다고 분석된다.
탈북민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이사장은 평양문화어보호법 채택은 지난해 북한이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만든 데 이은 연장선으로 봤다. 안 이사장은 “남편을 ‘오빠’라 부르고 또 부부 사이에 ‘자기’라고 부르는 것이 대표적인데, 이런 게 한국 드라마나 영화가 들어가서 확산된 것” 이라며 “자본주의 문화 유입이 체제를 위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에 새로운 법을 또 만들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북한 내에도 휴대폰이 700만 대가 보급된 상태여서 직접 대화뿐 아니라 남한의 카카오톡과 같은 북한식 메신저나 문자메시지를 통해서도 그런 말을 많이 쓴다”며 “평양에서 새로운 용어가 하나 생겼다 하면 지방까지 쫙 확산이 되니 상당히 위협적”이라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법률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평가할 사안이 없다”면서도 “사상과 제도·문화를 수호한다는 등의 표현을 볼 때,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지 않은가 추측한다”로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