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2024년 ‘초소형 위성’을 제작해 쏘아 올릴 계획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지금까지 국내 대학 등에서 초소형 위성 제작은 성공했으나, 지자체 차원에서 초소형 위성을 제작해 쏘아 올린 사례는 한 번도 없었다. 정부는 연말까지 우주항공청 개청을 목표로 대전(연구·인재개발)·경남(위성제조)·전남(발사체)을 우주산업 협력지구 위성 특화지구(클러스터)로 지정한 상태로, 지자체 간 치열한 우주산업 개발 경쟁이 예상된다.
7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시는 2019년부터 민간 주도 방식의 소형 위성 개발에 착수해 초소형 위성 제작을 완료하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을 통해 지구 궤도로 쏘아 올린다는 계획이다.
부산시가 개발에 성공한 위성은 가로 20cm, 세로 20cm, 높이 30cm에 무게 12kg의 초소형으로, 제작비용은 대당 10~20억원으로 알려졌다. 이 소형 위성은 1~2년 간 지상 500~600km 상공에서 지구궤도를 돌며 하루 1차례 서해상 및 일주일에 1차례 부산항을 집중 관측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한다.
시는 소형 위성이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발원한 황사 및 미세먼지의 발생상황과 이동경로를 실시간 분석하고, 해양오염사고 등 각종 해양 재난·재해 관련 자료를 확보해 항만을 관리하는 빅데이터로 활용할 방침이다.
위성산업이 궤도에 안착하면 민간 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위성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는 플랫폼 기업과 부산에 거점을 둔 해상위성통신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지역 대학과 연계를 통해 관련 기업에서 곧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맞춤형 인재 발굴·육성에 나설 예정이다. 이는 지역 해양 및 우주관련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부산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의 초소형 위성 개발 사업은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산 영도구 동삼혁신지구로 이전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으로부터 ‘민간위성시대’를 맞아 중·대형 위성 제작 제안을 받고, ‘빅데이트를 활용한 민간 위성 사업’에 뛰어든 것이 시발점이다.
시는 초소형 위성 제작으로 방향을 틀면서 정부로부터 국비 182억원을 지원 받아 부산의 신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나섰고, 위성 사업은 비밀리에 차근차근 진행됐다. 이듬해 부산 영도구 동삼혁신지구에 ‘부산 해양신산업 오픈플랫폼’을 개소하고, 민간 우주서비스산업 거점을 조성했다.
KIOST 해양위성센터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 해양·우주기술 전문 연구기관 및 지역기업과 기술협업을 통해 소형위성 개발에 착수했다. 청년 창업(스트타업) 및 우주산업 기업과 ‘초소형 위성(Busan-Sat)’ 2기를 제작하고,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편광카메라를 부착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1월 초소형 위성 발사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NASA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NASA는 글로벌 기후변화를 관측하기 위한 메가 프로젝트에 편광카메라를 부착한 Busan-Sat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기 위해 부산시와 손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의 소형위성 개발 과정에는 집념에 불타오르는 한 젊은 여성 공무원의 힘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한 여성 공무원 A씨는 2019년 부산시 해양수산과로 발령받아 KIOST에서 제안한 소형위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는 소형위성 개발 사업이 부산의 미래를 바꿀 ‘게임체인저’라는 확신을 가지고, KIOST·부산테크노파크 및 지역 민간 기업들과 위성 개발에 몰두했다. 4년째 같은 부서에서 한 우물을 판 결과, 부산의 산업지형을 바꿀 수 있는 성과를 이뤘다.
A씨는 “부산에서 왜 위성 사업을 추진하느냐는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다”며 “위성 관련 사업은 보안규정이 엄격해 휴전선과 인접한 중부지역은 허가받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바다를 낀 부산이 가장 적합한 도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