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고위기 청소년 지원팀 운영 지자체 2023년 22곳으로 늘어

#. 부모의 돌봄을 받지 못하고 방치된 다문화가정 자녀 A씨는 보호시설을 거친 뒤 서울의 한 고시원에서 홀로 고립된 생활을 이어갔다. 사회와 단절된 일상에서 심한 우울감으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까지 생각하던 A씨를 구한 건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안전망팀이었다. 이들은 A씨에게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청소년쉼터에 머물도록 도왔다.

 

고위기 청소년을 발굴해 지원하는 청소년안전망팀 사업이 올해 지자체 22곳으로 확대된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고위기 청소년 지원강화 방안’에 따라 고위기 청소년 지원 기관 간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여성가족부는 22일 ‘2023년 지자체 청소년안전망 선도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앞선 사례 등 청소년안전망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청소년 지원 기관 간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다.

 

2020년 지자체 9곳에서 운영된 청소년안전망팀 사업은 2021년 14곳, 지난해 20곳으로 계속 늘었고, 올해는 22곳의 지자체에서 운영된다. 경기 안산시와 전남 순천시가 추가로 참여한다.

 

지난해 11월 여가부는 전문 상담인력을 확충하고, 사례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의 고위기 청소년 지원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자살·자해 우려가 큰 고위기 청소년은 빠른 발견과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선 학교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경찰 등의 협력이 중요해서다.

 

‘2022 자살예방백서’를 보면 2019년 인구 10만명당 우리나라 청소년(10∼24세) 자살 사망자는 10.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인 6.4명의 약 1.6배다. 특히 10대의 자살·자해 시도가 크게 증가했다. 2017년 2633명이었던 10대의 자살·자해 시도 건수는 2020년 4459명으로 70% 가까이 늘었다.

 

청소년안전망팀에는 위기청소년 전담공무원과 민간 전문인력(청소년통합사례관리사)이 배치돼 위기청소년을 찾고, 지원기관 연계, 사례관리 등을 한다. 청소년안전망팀을 운영하는 지자체는 ‘지자체 합동평가’에서 가점을 받고, 뛰어난 성과를 보인 사업 담당자는 여가부 장관 표창을 받는다.

 

윤효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이사장은 “위기청소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촘촘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권영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위기상황을 해소하려면 조기발굴과 맞춤형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정한 기자 ha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