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 일상의 심볼이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매일 아침 문을 열고 ‘다녀오겠습니다’하고 가고, ‘다녀왔습니다’하고 문을 닫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재해라는 것은 그러한 일상을 단절시키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침에 문을 열고 나갔는데 돌아오지 않는 것이죠.”
‘스즈메의 문단속’을 만든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문’을 영화의 모티브로 삼은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한국 드라마 ‘도깨비’에서 문을 사용하는 방법이 굉장히 인상적이었고, 거기에서 힌트를 얻어서 문을 영화의 모티브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신카이는 ‘스즈메의 문단속’을 포함, 세 개의 재난 소재 애니메이션으로 일본에서 연속으로 각각 1000만 이상의 관객을 모은 스타 애니메이션 감독이다. 그의 전작인 ‘너의 이름은.’은 한국에서 2017년 개봉해 380만 관객을 불러모았다. 최근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자리를 내주기 전까지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중 국내 흥행 순위 1위의 영화다.
신작이 개봉한 8일 그는 서울 성동구 메가박스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스크린 너머의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들려줬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규슈의 한적한 마을 소녀 스즈메가 재난을 부르는 문을 닫기 위해 여행하는 소타를 만나고, 우연히 폐허가 된 거리의 문을 열게 되면서 벌어지는 모험담을 그린다.
재앙을 막는 돌에서 살아 있는 고양이로 변신한 ‘다이진’과 인간 소타의 영혼이 깃든 세 발만 있는 ‘아이용 의자’는 영화의 전개에서 스즈메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다.
“개인적으로 고양이를 좋아하기도 하는데, 사실은 변덕스러운 자연을 상징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하다가 고양이로 했습니다. 자연은 아름답게 보이다가도 어느 순간 굉장히 무시무시하게 인간을 덮쳐오기도 합니다. 쓰나미 같은 것이 그렇죠.”
소타를 의자로 설정한 것은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현실에 있었던 비극의 슬픔을 희석하기 위해서다. 스즈메와 함께 다니는 의자는 그 장소에 있기만 해도 맘을 누그러뜨리고 귀여움을 느낄 수 있는 존재로 설정됐다. 의자 다리가 세 개인 건 코믹한 느낌을 위한 장치이자 엄마를 잃은 스즈메의 상실감에 대한 메타포이며, 그럼에도 강하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설정이라고 한다.
시간과 공간의 초월, 달리는 소년·소녀, 재해 등 히트한 그의 영화 세 편은 닮았기도 하다. 스스로 자신의 세계에 갇힌 건 아닐까.
“세 작품이 재해를 다뤘으니까 앞으로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볼까 생각합니다. 아직 백지상태인데 이번에 한국에 와 있는 동안 힌트를 얻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차기작은 한국이 무대가 될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나라 극장가는 일본 애니 돌풍이 불고 있다. 9일 영화입장권통합전산망(KOBIS)에 따르면, ‘스즈메의 문단속’은 개봉일인 8일 14만3000여명이 관람하며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2위는 ‘더 퍼스트 슬램덩크’, 4위는 지난 2일 개봉한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 마을로’로 모두 일본 애니다.
“일본과 한국은 어떤 문화적인 것이나 풍경이 닮은 점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풍경·도시의 모습이라는 것은 사람의 마음이 반영돼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마음의 형태도 유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한국분들은 일본 애니를, 일본분들은 한국의 드라마를 많이 보는 게 아닐까요.” 그는 “정치적 상황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있고 파도같이 반복되지만, 문화에서는 강하게 연결돼 계속 같이 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신카이 감독은 재해와 단절은 일본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말한다.
“한국은 지진은 없다고 하더라도 재해는 여기저기서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상이 단절되었을 때 어떻게 그것을 회복하고 다시 살아가게 되는가를 테마로 하는 작품이기 때문에, 한국분들도 이것은 우리들의 세계를 그리는 것이로구나 생각하고, 즐겁게 봐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