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고위공직자 재산 신고내역 평균 20억원 육박… 장관 10명 중 4명 강남 3구

공개 대상 2037명 평균 19억4625만원
2981만원 증가… 절반은 1억 이상 늘어

尹 76억여원… 金여사 예금 4582만원 ↑
대통령실 참모 7人 평균 79억8192만원
김은혜 264억원 … 수석비서관 중 ‘최고’
이원모 비서관 443억 중앙부처서 1위

윤석열정부에서 임명된 국무총리와 장관 18명의 평균 재산은 지난해 말 기준 40억190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42%인 8명은 서울 강남·서초·송파 3구에 집을 보유했다. 대통령실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6명의 평균 재산은 79억8192만원으로 직전 신고 때보다 5억원 가까이 늘었다.

고위공직자 및 시도지사 등 전체 공개대상자 2037명의 평균 재산은 19억4625만원이다. 이들 중 절반 가까이는 재산이 1억원 이상 불어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포함해 올해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을 30일 관보에 게재했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들이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고위공직자들의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세종=연합뉴스

◆장관 10명 중 4명 강남 3구

공직자윤리위는 이날 관할 재산 공개대상자인 장차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시도지사, 광역의회 의원, 교육감 등 2037명의 신고 내역을 공개했다. 지난해 1월부터 12월31일까지 달라진 재산 내역을 반영했다. 증감액은 2021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지난해 임명된 공직자는 이후 수시 등록한 내역을 기준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한덕수 국무총리를 포함해 각 부처 장관 17명의 평균 재산은 39억9790만원이다. 지난해 11월 임명된 이주호 교육부총리는 이번에 빠졌다. 이 부총리를 포함하면 윤석열정부 1기 내각의 평균 재산은 40억1909만원이다. 이는 2018년 문재인정부 1기 내각의 첫 신고액보다 2배가 넘는 액수다. 총액으로는 문재인정부 1기 내각의 17억9000만원보다 22억2900만원 늘어난 수치다.

한 총리와 장관 17명의 재산 신고액은 직전 신고 때보다 평균 7513만원 감소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종합소득세 납부 등으로 직전보다 11억7302만원 줄었다고 신고한 영향이 크다. 이 장관의 총 재산은 148억7003만원으로 장관 중 가장 많았다.

총리와 장관 총 19명 중 8명은 본인이나 배우자가 서울 강남 3구에 집을 보유했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서울 강남구 도곡동, 이종호 장관이 서초구 잠원동,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서초구 서초동,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송파구 잠실동,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이주호 장관이 강남구 압구정동,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강남구 개포동,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서초구 방배동에 주택이 있었다.

◆대통령실 참모 79억… 용산 다수 거주

윤석열 대통령은 76억9725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지난해 8월 수시재산등록 때보다 예금만 5726만원 늘었다. 본인 예금은 급여소득 등으로 1144만원, 김건희 여사의 예금은 4582만원 증가했다.

대통령실 김대기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6명의 재산 평균은 79억8192만원이다. 직전 신고 때보다 4억8721만원 증가했다. 김대기 실장이 본인 발행어음 28억7708만원을 재산에 추가하면서 전체 평균이 훌쩍 뛰었다. 수석비서관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이는 김은혜 홍보수석비서관으로 264억9038만원이다.

대통령비서실장 아래 비서관급 이상 41명으로 범위를 넓히면 평균 재산 신고액은 46억1294만원이다. 검사 출신 이원모 인사비서관의 재산이 443억9353만원으로 가장 많다. 이 비서관의 재산 중 배우자 소유 주식이 341억4808만원에 달한다. 이 비서관의 배우자는 자생한방병원 설립자인 신준식 명예이사장의 자녀다.

비서관 이상 41명 중 13명(31%)은 본인이나 배우자가 강남 3구에 집을 보유했다. 이관섭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이 서울 용산구 나인원 한남에 거주하는 등 용산에 집을 가진 이들이 7명인 점이 눈에 띈다. 비서관급 이상 중 14명은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등을 두 채 이상 갖고 있다.

◆재산 1억 이상 증가자, 절반 육박

공직자윤리위 관할 재산공개대상자 2037명이 신고한 평균 재산은 19억4625만원이다. 이는 2018년 문재인정부 첫 신고 당시 1711명의 평균 13억4700만원보다 5억9925만원 늘어난 액수다.

평균 재산은 2019년 12억900만원으로 줄었다가 이듬해 13억300만원을 거쳐 2021년 14억1297만원, 2022년 16억2145만원으로 매년 1억원 이상 증가 추세다. 지난해와 올해 모두 신고한 인물만 비교하면, 올해 평균 재산은 2981만원 증가했다.

전체 신고자 중 재산이 10억∼20억원인 이들은 28.8%, 20억원 이상은 31.3%로 60.1%가 10억원이 넘었다. 재산 신고는 처음 등록할 때 공시가격과 실거래가 중 높은 금액을 써낸 후 매년 증가분을 반영한다. 상당수 공직자가 여전히 공시가격 증가분을 올리기에 실제 재산 규모는 신고액보다 클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신고자 중 73.6%는 직전보다 재산이 증가했다. 특히 1억∼5억원 늘어난 이들은 41.1%, 5억원 이상 늘어난 이들은 6.5%로 47.6%가 1억원 이상 재산이 불었다. 인사혁신처는 지난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17.2%, 개별 공시지가가 9.9% 증가하고 급여·상속 등의 영향으로 재산 증감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10명 중 4명(39.9%·812명)은 독립생계 등을 이유로 부모나 자녀의 재산공개를 거부했다. 재산고지 거부 비율은 2021년 34.2%, 2022년 36.7%로 매년 증가 추세다.

신고대상자 중 재산 총액 1위는 조성명 강남구청장이다. 총 532억5556만원을 신고했다. 2위는 이원모 비서관으로, 중앙부처로 범위를 좁히면 이 비서관이 재산 총액 1위다. 임준택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311억5581만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293억7624만원), 김성수 경기도의회 의원(268억1354만원)이 뒤를 이었다. 임 회장은 보유 주식 평가액 증가 등으로 지난 신고보다 재산이 115억4314만원 늘었다. 그는 전체 공개자 중 재산 증가액 1위를 차지했다.

 

서울 서초구 대법원의 모습. 뉴시스

◆고위 법관 평균 38억… 윤승은 198억 ‘톱’

 

김명수 대법원장의 재산은 18억원, 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은 36억원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 공개대상인 고위 법관의 평균 재산은 38억원 수준이었다.

 

대법원이 30일 공개한 ‘2023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보면 김 대법원장의 총재산은 약 18억10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4000만원(순증감액) 늘었다. 순증감액은 전체 증감액에서 주택 공시가격이나 토지 개별공시지가 변동분을 뺀 값이다.

 

공개대상인 고위법관 143명의 평균 재산은 38억7223만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7964만원이 늘었다. 이들 중 1년 사이 재산이 1억원 이상 늘어난 법관은 45명, 1억원 이상 감소한 경우는 12명이었다. 재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법관은 서울고법의 권기훈 부장판사로, 급여 저축과 배우자의 상속으로 약 13억원 늘었다. 반대로 같은 법원의 이승한 부장판사는 8억원가량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생활비 지출과 직계존속의 재산등록 제외 등이 사유로 신고됐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법관은 윤승은 법원도서관장이었다. 윤 관장의 재산은 약 198억7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중앙지법의 최상열 원로법관(약 181억원), 서울고법 문광섭 부장판사(165억원), 수원지법 조경란 원로법관(162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날 헌법재판소가 공개한 15명의 재산변동 내역을 보면 공개대상자의 평균 재산은 29억6084만원으로 지난해 대비 1억5199만원 늘었다. 재산 총액으로는 이미선 재판관(65억1000만원)이 가장 많고, 이영진 재판관(49억원), 이석태 재판관(43억5000만원), 이종석 재판관(40억6000만원) 순이었다.

 

법무부와 검찰 고위간부급은 평균 25억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지난해보다 2억원이 늘어난 22억원을 신고했다. 노정연 부산고검장은 80억6000만원을 신고해 법무·검찰 고위인사 중 재산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이진동 대전지검장(63억4000만원), 정영학 서울북부지검장(63억3000만원), 이노공 법무부 차관(62억8000만원) 순서로 집계됐다.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처장은 18억4000만원을 신고했다.


송은아·이종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