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총선을 1년 앞둔 가운데 다시 한 번 제3지대론에 관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무당층이 3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최근 시동이 걸린 선거제 개편의 향방에 따라 제3지대 세력화가 가시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갤럽이 4∼6일 실시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이 28%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33%와 국민의힘 32%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모습이다. 올해 한국갤럽 조사에서 무당층은 꾸준히 20% 중후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윤석열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해 5월 무당층은 18% 수준이었다. 1년 새 10%포인트 안팎이 늘어난 것이다.
무당층 확대는 곧 여야 지지자 이탈을 뜻한다. 여당의 경우 주 69시간 근무 논란과 한·일 정상회담 후폭풍에 따른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 하락세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와 개딸(개혁의딸) 등 극성 지지층 논란이 지지율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거대 야당의 단독 입법 추진과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등 여야 강대 강 충돌까지 이어지면서 정치불신 자극으로 인한 무당층 확산세가 힘을 받는 형국이다.
그러나 이런 무당층 증가 현상은 내년 4월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자연스레 여야 지지자 결집 양상이 나타나 약화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제동을 걸기 위해선 이들 무당층 지지를 받아낼 제3지대 정당이 나타나야 한다. 현재 국회에서 진행 중인 선거제 개편이 이 정당 출현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 현역 의원은 “중대선거구제든, 비례대표제든 선거제 개편 결과에 따라 총선에서 세력화가 가능하다는 판단이 서면 분당이나 창당이 비주류에게 하나의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 제3지대의 ‘간판’은 보이지 않고 있다. 무당층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고 제3지대 정당에 유리한 선거제가 만들어지더라도, 구심점이 될 만한 인물이 없으면 결국 첨예한 여야 대립 구도에 제3지대는 다시금 소멸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