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에서 48.56%를 득표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집권 첫해임에도 30%대 초반(한국갤럽 기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집권 과정은 드라마틱했지만,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보여준 역량은 국민의 기대에 못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번 방향을 잡으면 여론에 휘둘리지 않고 밀어붙이는 윤 대통령의 스타일과 이를 뒷받침한 참모 그룹이 빚어낸 성적표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집권 2년차부터는 일방통행보다 소통을 앞세우는 유연한 정책 행보를 위해 과감한 인적 쇄신을 통한 국정운용 기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문하고 있다.
윤석열정부의 파워엘리트는 지난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때와 마찬가지로 ‘서오남’(서울대, 50대 남성)이 주류를 이뤘고, 정부 출범 초기보다 이들의 약진이 더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세계일보가 윤석열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과 총리실·45개 중앙행정기관 차관급 이상 총 141명을 분석한 결과 ‘영남’, ‘서울대’, ‘50대 남성’이 다수를 차지했다.
출신지역별로 대구·경북(TK)이 22명, 부산·울산·경남(PK) 32명 등 영남이 54명(38.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수도권이 43명(30.5%), 충청 21명(14.9%), 강원 10명(7.1%), 호남 12명(8.5%) 등의 순이었다. 학부 기준 출신 대학으로는 서울대가 70명(49.6%)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고려대가 16명(11.3%), 연세대 13명(9.2%)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126명(89.4%)으로 압도적 우위를 차지했다. 여성은 15명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96명(68.1%)으로 1위였고 그다음이 60대 40명(28.4%)이었다. 70대 이상은 2명, 40대는 3명에 그쳤다. 30대 이하는 한 명도 없었다.
분야별로는 경제부처 출신 또는 경제 전공자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대통령을 보좌하는 내각의 투톱인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과 한덕수 국무총리는 모두 경제부처 관료 출신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도 기획재정부 출신이다. 부처 성격과 관계 없이 서울대 경제학과(19명) 출신이 장·차관을 두루 맡고 있다.
검찰 출신은 대통령실에 7명, 내각의 장관급 4명, 차관급 9명으로 이전 정부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인사와 사정, 공직기강 등 권력 핵심에 배치된 점에서 무게가 다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기관에 파견된 검사만 11명에 이른다. 감사원, 국가정보원, 외교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주요 행정기관뿐 아니라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서울대병원 감사, 국민권익위원회 등에도 검사 출신이 파견된 상태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윤 대통령이 공정과 상식을 이야기하면서 개방적 인사에 대한 기대감을 줬는데 결과적으로 ‘서오남’과 검찰 패밀리 중심으로 구성됐다”며 “사회적 다양성과 통합을 위해선 인사의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